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김태욱 교수
ku-ocean 연구실은 해양과 대기 사이의 상호작용, 특히 이산화탄소의 교환과 해양산성화 현상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해양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기후변화의 속도를 늦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 과정에서 해수의 산성화가 심화되어 해양 생태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러한 해양산성화의 원인과 결과, 그리고 해양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인간 활동의 증가로 인해 대기 중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들 오염물질이 해양으로 유입되어 해양의 물질 순환과 생지화학적 과정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대기 침적, 가스 교환, 에어로졸 등 다양한 경로를 통해 해양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조성과 그 영향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양 환경 변화의 원인과 결과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고, 미래 해양 환경 변화에 대한 예측력을 높이고자 합니다.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해양은 온실가스의 흡수와 저장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산화탄소, 아산화질소, 육불화황 등 다양한 온실가스의 해양 내 분포와 변동성을 분석하고, 해양기반 탄소 제거(Ocean CDR)와 관련된 기초 과학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해양이 기후변화 대응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반도 주변 연안, 북태평양, 극지방 등 다양한 해역에서의 현장 관측과 실험, 모델링을 통해 지역별 특성과 전 지구적 변동성을 함께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적인 연구는 해양 환경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보전,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ku-ocean 연구실은 앞으로도 해양-대기 상호작용, 해양산성화, 대기 오염물질의 해양 유입, 해양 온실가스 분석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해양 환경 보전과 기후변화 대응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과의 협력, 첨단 연구장비와 분석기법의 도입, 그리고 우수한 연구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