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성동기 교수
고분자복합재료연구실은 첨단 고분자 복합재료의 구조 설계, 공정 개발, 기능성 부여 및 응용에 이르기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 대표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탄소섬유, 유리섬유, CNT, 그래핀 등 다양한 보강재와 고분자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경량화, 고강도, 내충격성, 내열성 등 우수한 물성을 지닌 복합재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공우주, 자동차, 선박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구조부품용 복합재의 대량생산 및 고속성형 공정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복합재료의 대량생산을 위한 반응성 수지 기반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다중드랍 방식의 고속 액상성형(MDF), 고압 RTM 등 첨단 공정기술을 도입하여, 생산성 향상과 품질 안정화를 동시에 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지 함침 과정에서 발생하는 섬유 변형, 기공 생성 등 미세구조적 결함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모델링 및 실험 연구를 통해, 실제 산업 적용에 적합한 공정 안정화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기능성 나노복합재 및 스마트 소재 개발도 본 연구실의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MXene, CNT, 그래핀 등 첨단 나노필러를 고분자 매트릭스에 도입하여 전기적, 열적, 기계적 특성을 극대화한 복합재를 설계하고, 전자파 차폐, 열전도, 센서, 에너지 저장 등 다양한 첨단 응용 분야에 적합한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자가치유, 신축성, 투명성, 전기전도성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한 스마트 소재 및 디바이스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고분자 복합재의 계면접착력 강화, 표면 개질, 층상 구조 제어 등 나노구조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복합재의 분산성, 계면 특성, 내구성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에너지 저장장치, 친환경 건축자재, 미래형 모빌리티 등 차세대 산업에 필수적인 고기능성 소재의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고분자복합재료연구실은 다수의 국내외 특허, 우수 논문, 산학협력 프로젝트, 학회 수상 실적을 바탕으로, 소재-공정-응용을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고분자 복합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산업을 이끌어갈 혁신적인 소재와 공정 기술 개발에 앞장설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