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고분자복합재료연구실

부산대학교 고분자공학과

성동기 교수

CFRP Manufacturing

Smart Composites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고분자복합재료연구실

고분자공학과 성동기

고분자복합재료연구실은 첨단 고분자 복합재료의 구조 설계, 공정 개발, 기능성 부여 및 응용에 이르기까지 전주기적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 대표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탄소섬유, 유리섬유, CNT, 그래핀 등 다양한 보강재와 고분자 매트릭스를 활용하여 경량화, 고강도, 내충격성, 내열성 등 우수한 물성을 지닌 복합재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공우주, 자동차, 선박 등 미래 모빌리티 산업에서 요구되는 고성능 구조부품용 복합재의 대량생산 및 고속성형 공정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복합재료의 대량생산을 위한 반응성 수지 기반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다중드랍 방식의 고속 액상성형(MDF), 고압 RTM 등 첨단 공정기술을 도입하여, 생산성 향상과 품질 안정화를 동시에 달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지 함침 과정에서 발생하는 섬유 변형, 기공 생성 등 미세구조적 결함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모델링 및 실험 연구를 통해, 실제 산업 적용에 적합한 공정 안정화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기능성 나노복합재 및 스마트 소재 개발도 본 연구실의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MXene, CNT, 그래핀 등 첨단 나노필러를 고분자 매트릭스에 도입하여 전기적, 열적, 기계적 특성을 극대화한 복합재를 설계하고, 전자파 차폐, 열전도, 센서, 에너지 저장 등 다양한 첨단 응용 분야에 적합한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자가치유, 신축성, 투명성, 전기전도성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한 스마트 소재 및 디바이스 개발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고분자 복합재의 계면접착력 강화, 표면 개질, 층상 구조 제어 등 나노구조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복합재의 분산성, 계면 특성, 내구성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에너지 저장장치, 친환경 건축자재, 미래형 모빌리티 등 차세대 산업에 필수적인 고기능성 소재의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고분자복합재료연구실은 다수의 국내외 특허, 우수 논문, 산학협력 프로젝트, 학회 수상 실적을 바탕으로, 소재-공정-응용을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고분자 복합재료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미래 산업을 이끌어갈 혁신적인 소재와 공정 기술 개발에 앞장설 것입니다.

CFRP Manufacturing
Smart Composites
Polymerizable Liquid Crystal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의 구조 및 공정 개발
섬유강화 고분자 복합재료는 경량성과 높은 기계적 강도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 항공우주, 자동차, 선박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탄소섬유, 유리섬유, 나노필러 등 다양한 보강재를 활용하여 고분자 복합재료의 구조적 특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섬유의 길이, 배향, 분포에 따른 복합재의 물성 변화와 최적화된 적층 구조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복합재료의 대량생산 및 고속성형을 위한 공정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반응성 수지 기반의 열가소성 복합재 성형, 다중드랍 방식의 고속 액상성형(MDF), 고압 RTM(Resin Transfer Molding) 등 첨단 공정기술을 도입하여 복합재의 품질과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수지 함침 과정에서 발생하는 섬유 변형, 기공 생성 등 미세구조적 결함을 예측하고 제어하는 모델링 및 실험 연구를 병행하여, 실제 산업 적용에 적합한 공정 안정화 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개발된 복합재료는 기존 금속 소재를 대체할 수 있는 경량화, 고강도, 내충격성, 내열성 등의 우수한 특성을 지니며, 항공기, 자동차, 친환경 선박 등 다양한 구조부품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복합재료의 구조 설계와 공정 혁신을 통해 미래 모빌리티 및 첨단 산업의 핵심 소재 개발을 선도할 것입니다.
기능성 나노복합재 및 스마트 소재 응용
고분자복합재료연구실은 기능성 나노복합재 및 스마트 소재 개발에도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MXene, CNT(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 첨단 나노필러를 고분자 매트릭스에 도입하여 전기적, 열적, 기계적 특성을 극대화한 복합재를 설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전자파 차폐, 열전도, 센서, 에너지 저장 등 다양한 첨단 응용 분야에 적합한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기조립형 에어로겔, 계면접착력 강화, 표면 개질, 층상 구조 제어 등 나노구조 설계 기술을 바탕으로, 고분자 나노복합재의 분산성, 계면 특성, 내구성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가치유, 신축성, 투명성, 전기전도성 등 다양한 기능을 부여한 스마트 소재 및 디바이스(예: 신축성 전자소자, 스마트 윈도우, 전기변색 소자 등) 개발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웨어러블 전자기기, 에너지 저장장치, 친환경 건축자재, 미래형 모빌리티 등 차세대 산업에 필수적인 고기능성 소재의 상용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나노복합재의 구조-물성-공정-응용을 아우르는 융합 연구를 통해, 소재 혁신과 새로운 스마트 기능 구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1
Viscoelastic Analysis of the Radiant Heating Process of ABS Sheets
INTERNATIONAL JOURNAL OF PRECISION ENGINEERING AND MANUFACTURING, 2025.04
2
Development of high-toughness aerospace composites through polyethersulfone composition optimization and mass production applicability evaluation
COMPOSITES PART A-APPLIED SCIENCE AND MANUFACTURING, 2025.02
3
Construction of self-stacking nanostructure with MXene and CNT through dopamine polymerization
Korea-Australia Rheology Journal, 2024.11
1
[1단계_공동] 항공기 가스터빈 엔진용 고온 탄소복합소재 성형 기술 개발
한국재료연구원
2022년 04월 ~ 2024년 12월
2
항공 복합소재 공정 안정화를 위한 실험기반 소재 물성 최적화
국방과학연구소
2022년 04월 ~ 2023년 03월
3
(RCMS) (2단계) 친환경 선박을 위한 복합소재 적용 대형 의장품 기술개발
주식회사 에스컴텍
2022년 ~ 2024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