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다원 연구실
생리학교실 강다원
강다원 연구실은 이온통로 및 운반체 생리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생리적·병리적 현상과 질환의 기전을 연구하는 의생명과학 분야의 선도적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투포어 도메인 칼륨채널(TREK, TASK, THIK 등), TRP 채널, 그리고 다양한 이온채널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이들이 세포 내외 환경 변화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포막 전위, 신경전달, 호르몬 분비, 세포사멸 등 생명현상의 근본 원리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온채널의 기능 이상이 신경계 질환(알츠하이머병, 신경통, 뇌손상 등), 대사질환(비만,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 생식계 질환(난소낭종, 정자운동성 저하 등), 암의 성장 및 전이 등 다양한 질환과 어떻게 연관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유전자 조작 동물모델, 세포주, 환자 유래 샘플 등 다양한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온채널의 병리적 역할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이온채널을 표적으로 하는 신약 후보물질 및 기능성 식품 소재의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TREK, TASK, THIK 채널 조절제를 기반으로 한 신경질환, 암, 대사질환, 생식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산학협력을 통한 기술이전 및 사업화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국내외 학술대회에서 연구성과를 발표하며 학계와의 교류도 활발히 이어가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성과는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었으며, 이온채널의 구조적·기능적 특성, 약물 및 천연물에 의한 조절 메커니즘, 질환 모델에서의 치료 효과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노화, 염증, 신경손상, 대사질환 등 다양한 생리적·병리적 조건에서 이온채널의 역할을 밝히는 데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강다원 연구실은 이온통로 및 운반체 생리학의 기초와 응용을 아우르는 융합연구를 통해, 의생명과학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 새로운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기여할 것입니다. 이를 위해 지속적인 연구역량 강화와 산학연 협력, 그리고 후학 양성에 최선을 다할 계획입니다.
이온통로 및 운반체 생리학
이온통로 및 운반체 생리학은 세포막을 통한 이온의 이동과 이를 조절하는 다양한 채널 및 운반체의 기능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특히 투포어 도메인 칼륨채널(TREK, TASK, THIK 등)과 TRP 채널, 그리고 이들의 신경계, 생식계, 심혈관계 등 다양한 조직에서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온통로의 구조적 특성과 활성 조절 메커니즘, 그리고 이들이 세포의 전기적 특성 및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이온통로의 이상은 신경질환, 심혈관질환, 대사질환 등 다양한 질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동물모델과 세포모델을 활용하여 이온통로의 발현 변화, 기능적 조절, 그리고 약물에 의한 조절 효과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노화, 염증, 신경손상, 대사질환 등 다양한 생리적·병리적 조건에서 이온통로의 역할을 밝히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질병의 새로운 진단 및 치료 표적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신약 개발 및 기능성 식품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본 연구실은 이온통로를 표적으로 하는 다양한 치료제 후보물질의 효능을 검증하고, 관련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온통로 및 운반체 생리학의 기초와 응용을 아우르는 선도적 연구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이온채널 기반 질환 모델 및 치료 전략 개발
본 연구실은 이온채널의 기능 이상이 유발하는 다양한 질환, 예를 들어 신경계 질환(알츠하이머병, 신경통, 뇌손상 등), 대사질환(비만,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 생식계 질환(난소낭종, 정자운동성 저하 등), 그리고 암의 전이와 성장 등과의 연관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유전자 조작 동물모델, 세포주, 환자 유래 샘플 등 다양한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온채널의 병리적 역할을 규명합니다.
특히, 이온채널의 발현 조절, 기능적 변화, 그리고 이온채널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 및 천연물의 치료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TREK, TASK, THIK 채널의 조절을 통해 신경세포의 흥분성, 세포사멸, 염증반응, 세포 이동 및 분화 등 다양한 생리적 현상과 질환 진행을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왔습니다. 또한, TRPV1, TRPM4 등 다양한 이온채널의 활성 조절이 암세포의 이동성, 침습성, 사멸 등에 미치는 영향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제 치료제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온채널 조절제를 기반으로 한 신경질환, 암, 대사질환, 생식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온채널 기반 질환 모델의 고도화와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을 통해 의생명과학 분야의 혁신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1
Sea Hare Hydrolysate Reduces PD-L1 Levels in Cancer Cells and Mitigates Rheumatoid Arthritis Ina Collagen-Induced Arthritis Mouse Model
강다원, Ryu Ji Hyeon, 송민석, Nyiramana Marie Merci, 프라요가 안자스 해피, 까오당롱, 이경원, 권혁권
FOOD SCIENCE & NUTRITION, 2025
2
Mice deficient in TWIK-1 are more susceptible to kainic acid-induced seizures
강다원, Kim Ajung, Bae Yeonju, Gadhe Changdev G., Jung Hyun-Gug, Yang Esther, Kim Hyun, Lee Jaekwang, Shim Chanseob, Sung Young Hoon, Noh Junyeol, 김은진, Pae Ae Nim, Hwang Eun Mi, Park Jae-Yong
ISCIENCE, 2025
3
Effect of Temperature Conditions on the Physicochemical Quality of Aged Black Garlic
강다원, 이보현, Jung-Hye Shin, Min-Jung Kang
FOODS, 2024
1
[IRIS-EZ]알츠하이머병에서 TREK/THIK 채널 표적 치료 전략 개발(1차년도)
2
[EZBARO]통증의 신경면역 조절에 있어서 투포어 도메인 칼륨통로의 역할 규명
3
[EZBARO]투포어 도메인 칼륨통로의 재조명; 생물리학적·약리학적·생리학적 성상(3차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