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이온통로 및 운반체 생리학
이온통로 및 운반체 생리학은 세포막을 통한 이온의 이동과 이를 조절하는 다양한 채널 및 운반체의 기능을 연구하는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특히 투포어 도메인 칼륨채널(TREK, TASK, THIK 등)과 TRP 채널, 그리고 이들의 신경계, 생식계, 심혈관계 등 다양한 조직에서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이온통로의 구조적 특성과 활성 조절 메커니즘, 그리고 이들이 세포의 전기적 특성 및 신호전달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이온통로의 이상은 신경질환, 심혈관질환, 대사질환 등 다양한 질병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동물모델과 세포모델을 활용하여 이온통로의 발현 변화, 기능적 조절, 그리고 약물에 의한 조절 효과를 체계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노화, 염증, 신경손상, 대사질환 등 다양한 생리적·병리적 조건에서 이온통로의 역할을 밝히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질병의 새로운 진단 및 치료 표적을 제시할 뿐만 아니라, 신약 개발 및 기능성 식품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본 연구실은 이온통로를 표적으로 하는 다양한 치료제 후보물질의 효능을 검증하고, 관련 특허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온통로 및 운반체 생리학의 기초와 응용을 아우르는 선도적 연구를 지속할 예정입니다.
2
이온채널 기반 질환 모델 및 치료 전략 개발
본 연구실은 이온채널의 기능 이상이 유발하는 다양한 질환, 예를 들어 신경계 질환(알츠하이머병, 신경통, 뇌손상 등), 대사질환(비만,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 생식계 질환(난소낭종, 정자운동성 저하 등), 그리고 암의 전이와 성장 등과의 연관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유전자 조작 동물모델, 세포주, 환자 유래 샘플 등 다양한 실험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온채널의 병리적 역할을 규명합니다. 특히, 이온채널의 발현 조절, 기능적 변화, 그리고 이온채널을 표적으로 하는 약물 및 천연물의 치료 효과를 다각도로 분석합니다. 예를 들어, TREK, TASK, THIK 채널의 조절을 통해 신경세포의 흥분성, 세포사멸, 염증반응, 세포 이동 및 분화 등 다양한 생리적 현상과 질환 진행을 조절할 수 있음을 밝혀왔습니다. 또한, TRPV1, TRPM4 등 다양한 이온채널의 활성 조절이 암세포의 이동성, 침습성, 사멸 등에 미치는 영향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실제 치료제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이온채널 조절제를 기반으로 한 신경질환, 암, 대사질환, 생식질환 치료용 조성물에 대한 다수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기능성 식품 및 의약품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온채널 기반 질환 모델의 고도화와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을 통해 의생명과학 분야의 혁신을 선도할 계획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