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용명 연구실

부산대학교 건설융합학부

박용명 교수

Plate Girder Bridges

Cable-Stayed Bridges

Buckling Strength

박용명 연구실

건설융합학부 박용명

박용명 연구실은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에 소속되어 있으며, 강구조 및 응용역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강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플레이트거더와 같은 교량 구조물의 설계 및 해석, 그리고 콘크리트 앵커의 내진 성능 평가 등 다양한 연구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실험적 연구와 수치해석을 병행하여, 구조물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혁신적인 설계기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플레이트거더의 좌굴, 휨강도, 비틀림좌굴 등 구조적 거동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를 통해, 현행 설계기준의 한계점을 분석하고 개선된 설계식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보강재의 최적 설계와 구조물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변수 연구를 수행하며, 실제 교량 설계 및 시공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해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교량의 장수명화, 유지관리 효율성 증대, 안전성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다양한 앵커 시스템의 전단 저항강도와 내진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지진하중 하에서의 구조적 거동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기존 설계기준의 한계와 개선점을 도출하고, 내진 성능이 강화된 신기술을 개발하여 사회기반시설의 안전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진동대 실험, 반복하중 실험 등 첨단 실험기법을 활용하여, 실제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신뢰성 높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실무와 학문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와 학회에서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실제 구조물 설계 및 시공 현장에 적용되어 구조물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후학 양성에도 힘쓰며, 차세대 구조공학 전문가를 배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박용명 연구실은 앞으로도 강구조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구조적 안전성, 내진 성능, 장수명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사회기반시설의 안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국내외 구조공학 분야의 발전을 선도할 것입니다.

Plate Girder Bridges
Cable-Stayed Bridges
Buckling Strength
강구조 및 플레이트거더의 구조 안정성 및 설계기준 개선
박용명 연구실은 강구조물, 특히 플레이트거더와 같은 교량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과 설계기준의 합리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보강재(수평보강재, T-단면 보강재 등)를 적용한 플레이트거더의 좌굴, 휨강도, 비틀림좌굴 등 다양한 구조적 거동을 실험적, 해석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현행 AASHTO LRFD, Eurocode 3 등 국내외 설계기준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실제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개선된 설계식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강재의 개수, 위치, 형상비, 강성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구조적 성능을 수치해석과 실험을 통해 체계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강재의 최적 설계와 경제적이면서도 안전한 구조물 구현을 위한 설계기준의 개선안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교량의 내구성, 안전성,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의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와 학회에서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실제 교량 설계 및 시공 현장에 적용되어 구조물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실무와 학문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콘크리트 앵커 및 내진 성능 평가
연구실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선설치 앵커, 스터럽 보강 앵커, 헤어핀 보강 앵커 등 다양한 앵커 시스템의 전단 저항강도와 내진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진하중 하에서의 동적 전단강도, 정적 전단강도, 균열 및 비균열 콘크리트에서의 파괴거동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기존 설계기준(ACI 318, ETAG 001 등)의 한계와 개선점을 도출합니다. 실험 연구에서는 진동대 실험, 반복하중 실험 등 다양한 하중 조건에서 앵커의 파괴 메커니즘과 저항강도를 평가하며, 보강철근의 종류, 간격, 설치 방법에 따른 성능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실제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앵커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내진 설계가 중요한 사회기반시설(원전, 교량, 지하철 등)의 구조적 안전성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설계기준 개정 및 신기술 개발에 반영되어, 구조물의 내진 성능 향상과 재난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Characteristics of Lightweight Foam Concrete Manufactured Using Water-Soluble Polymers and Lightweight Aggregates
강충현, 서기영, 김태완, 박용명
MATERIALS, 202504
2
Investigation of the Effect of Blended Aggregate on the Strength and Drying Shrinkage Characteristics of Alkali-Activated Slag Mortar
강충현, 김태완, 박용명
MATERIALS, 202405
3
Evaluation of Self-Healing Properties of OPC-Slag Cement Immersed in Seawater Using UPV Measurements
박용명, 강충현, 김태완
MATERIALS, 202311
1
(RCMS) UHD 센서/열화상 센서를 갖는 드론 및 첨단 비파괴 검사법을 활용한 원전 격납건물 콘크리트 벽체 외부-내부 결함 진단, 해석을 위한 통합 건전성 평가 시스템
와이즈콘
2015년 09월 ~ 2018년 08월
2
부산도시철도 1호선 궤도개량에 따른 연구용역
부산교통공사
2013년 09월 ~ 2014년 02월
3
선설치 앵커의 지진시 전단력에 대한 콘크리트 파열파괴강도 평가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3년 06월 ~ 2016년 05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