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강구조 및 플레이트거더의 구조 안정성 및 설계기준 개선
박용명 연구실은 강구조물, 특히 플레이트거더와 같은 교량 구조물의 구조적 안정성 향상과 설계기준의 합리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보강재(수평보강재, T-단면 보강재 등)를 적용한 플레이트거더의 좌굴, 휨강도, 비틀림좌굴 등 다양한 구조적 거동을 실험적, 해석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현행 AASHTO LRFD, Eurocode 3 등 국내외 설계기준의 한계점을 도출하고, 실제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개선된 설계식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강재의 개수, 위치, 형상비, 강성 등 다양한 변수에 따른 구조적 성능을 수치해석과 실험을 통해 체계적으로 평가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보강재의 최적 설계와 경제적이면서도 안전한 구조물 구현을 위한 설계기준의 개선안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교량의 내구성, 안전성, 경제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의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와 학회에서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실제 교량 설계 및 시공 현장에 적용되어 구조물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를 수행하며, 실무와 학문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콘크리트 앵커 및 내진 성능 평가
연구실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되는 선설치 앵커, 스터럽 보강 앵커, 헤어핀 보강 앵커 등 다양한 앵커 시스템의 전단 저항강도와 내진 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지진하중 하에서의 동적 전단강도, 정적 전단강도, 균열 및 비균열 콘크리트에서의 파괴거동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기존 설계기준(ACI 318, ETAG 001 등)의 한계와 개선점을 도출합니다. 실험 연구에서는 진동대 실험, 반복하중 실험 등 다양한 하중 조건에서 앵커의 파괴 메커니즘과 저항강도를 평가하며, 보강철근의 종류, 간격, 설치 방법에 따른 성능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실제 구조물에 적용 가능한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앵커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내진 설계가 중요한 사회기반시설(원전, 교량, 지하철 등)의 구조적 안전성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 결과는 국내외 설계기준 개정 및 신기술 개발에 반영되어, 구조물의 내진 성능 향상과 재난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