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지대학교 기계공학과-고체,재료 이택상 교수
예측 모델링 및 전산생체역학 연구실은 기계공학과 임상 응용의 경계를 허물며, 첨단 전산 모델링 기법을 통해 연조직 생체역학 및 공업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연조직의 성장, 리모델링, 그리고 수술 후 반응을 정밀하게 예측하기 위해 유한요소법, 다중물리 시뮬레이션, 데이터 기반 모델링 등 다양한 수치해석 기법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특히, 환자 맞춤형 3D 모델링과 가상 수술 시뮬레이션을 통해 임상적 의사결정의 정확도를 높이고, 수술 결과의 최적화를 실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분야는 불확실성 분석 및 대리 모델링 기법입니다. 생체 조직과 재료의 기계적 특성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 베이지안 추론, 가우시안 프로세스 등 확률론적 방법론을 활용하여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임상 및 공학적 문제에서 신뢰성 높은 예측과 최적화가 가능하며,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및 신소재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연조직뿐만 아니라, 금속 및 공업 재료의 수명 예측과 손상 평가에도 전산역학적 접근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소형 펀치 시험과 같은 혁신적 실험 기법과 유한요소 해석, 머신러닝 기반 데이터 분석을 결합하여, 실제 산업 현장에서의 구조물 안전성 평가, 신소재 개발, 수명 연장 등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또한, 등기하 해석, 다중물리 해석 등 첨단 해석 기법을 통해 복합적인 물리 현상을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유수 학술지 및 학회에서 다수의 논문과 수상 실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특허와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실질적인 사회적, 산업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국연구재단, 명지대학교, 삼성전자 등 다양한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연구 역량을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예측 모델링 및 전산생체역학 연구실은 창의적이고 열정적인 대학원생 및 학부생을 적극적으로 모집하고 있습니다. 전산 고체역학, 연조직 생체역학, 데이터 기반 모델링, 다중물리 시뮬레이션 등에 관심 있는 학생들은 언제든지 연구실에 문의할 수 있으며, 실제 임상 및 산업 현장에서의 문제 해결에 도전하고자 하는 연구자들에게 최적의 환경을 제공합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