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정성애 연구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정성애 교수

Gastrointestinal Disorders

Deep Learning in Medical Imag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정성애 연구실

의과대학 정성애

정성애 연구실은 소화기내과, 특히 염증성 장질환(IBD)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궤양성 대장염, 크론병 등 IBD의 병태생리, 임상 양상, 진단 및 치료, 예후 인자 규명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한국인 환자 코호트 구축과 다기관 연구를 통해 한국형 IBD 관리 지침 및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항-TNF제, Vedolizumab, Tofacitinib, Adalimumab 등 최신 생물학적 제제 및 소분자 치료제의 실제 임상 효과와 안전성, 예후 예측 인자, 부작용 발생 위험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대사체, 지질체, 장내 미생물, 전사체 등 첨단 오믹스 연구를 통해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 내시경 영상 판독 자동화, 심리사회적 요인과 삶의 질, 백신 반응, 임신 및 출산, 감염 위험 등 IBD 환자의 전주기적 관리와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분야는 줄기세포 및 세포치료 기반 장질환 치료 신기술 개발입니다.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TMSC)를 이용한 급성 및 만성 대장염 동물 모델에서의 치료 효과와 작용 기전을 규명하였으며, 3차원 배양법을 통한 치료 효율 증대, 항염증 및 면역조절 인자 발현 증가, 조직 재생 촉진 등 다양한 기전을 밝혀냈습니다. 관련 특허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세포치료와 기존 약물치료의 병용 효과, 세포 외 소포체 등 새로운 치료제 후보물질의 임상 적용 가능성 평가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대장암, 조기 위암, 소화기계 희귀질환, 내시경 시술 및 합병증 예방, 장내 미생물과 대사체 연구, 백신 반응 및 감염 위험, 임신 및 출산, 삶의 질 등 소화기내과 전반에 걸친 다양한 임상 및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적 연구를 통해 정성애 연구실은 소화기 질환의 병태생리 이해와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 발전, 미래 정밀의료 실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Gastrointestinal Disorders
Deep Learning in Medical Imag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염증성 장질환(IBD)의 병태생리 및 맞춤형 치료 연구
정성애 연구실은 염증성 장질환(IBD), 특히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의 병태생리와 임상적 특성에 대한 심층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대규모 코호트 연구(MOSAIK, CONNECT 등)를 통해 한국인 IBD 환자의 임상 양상, 진단 지연, 예후 인자, 치료 반응 예측 인자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해왔습니다. 이를 통해 한국인 환자에서의 유전적, 환경적, 임상적 특성의 차이와 질환의 자연경과를 규명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치료제(항-TNF제, Vedolizumab, Tofacitinib, Adalimumab 등)의 실제 임상 효과와 안전성, 예후 예측 인자, 부작용 발생 위험 등을 다기관 코호트 및 임상시험을 통해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사체 및 지질체 분석, 장내 미생물 분석, 전사체 분석 등 첨단 오믹스 기술을 활용하여 치료 반응 및 예후 예측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반 내시경 영상 판독 자동화, 심리사회적 요인과 삶의 질, 백신 반응, 임신 및 출산, 감염 위험 등 IBD 환자의 전주기적 관리와 삶의 질 향상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각적 연구를 통해 정성애 연구실은 IBD의 병태생리 이해와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및 세포치료 기반 장질환 치료 신기술 개발
정성애 연구실은 편도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Tonsi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TMSC)를 이용한 장질환 치료 신기술 개발에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동물 모델(급성 및 만성 대장염, 만성 장질환 등)에서 TMSC의 치료 효과와 작용 기전을 규명하였으며, 3차원 배양법을 통한 TMSC의 치료 효율 증대, 항염증 및 면역조절 인자 발현 증가, 조직 재생 촉진 등 다양한 기전을 밝혀냈습니다. 특히, TMSC의 면역조절 특성을 활용하여 염증성 장질환, 급성 및 만성 대장염, 장 조직 손상 등 다양한 장질환에서의 치료 가능성을 동물 실험과 전임상 연구를 통해 입증하였으며, 관련 특허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PD-1/PD-L1 경로, 항염증 사이토카인, 장내 미세환경 조절 등 세포치료의 분자적 기전 연구도 병행하여, 세포치료의 안전성과 효능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줄기세포 유래 분비물(Conditioned Medium), 세포 외 소포체(Extracellular Vesicle) 등 새로운 세포치료제 후보물질의 효능 검증, 임상 적용 가능성 평가, 그리고 세포치료와 기존 약물치료의 병용 효과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난치성 장질환 환자에게 새로운 치료 대안을 제시하고, 미래 정밀의료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Inflammatory transcriptomic signatures and cell type compositions in inflamed and non-inflamed colonic mucosa of ulcerative colitis
Song E.M., Saqib J., Joo Y.H., Ramsha Z., Moon C.M., Jung S.-A., Kim J.
Genes and Diseases, 202505
2
Different modifiabl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non-advanced adenoma, advanced adenomatous lesion, and sessile serrated lesions, on screening colonoscopy
Choe A. Reum, Shim Ki-Nam, Jung Sung-Ae, Song Eun Mi, Seo Heeju, Kim Hyunju, Kim Gyuri, Kim Sojin, Byeon Ju Ran, Park Yehyun, Tae Chung Hyun
SCIENTIFIC REPORTS, 202407
3
Using a Deep Learning Model to Address Interobserver Variability in the Evaluation of Ulcerative Colitis (UC) Severity
송은미, 이레나, 김진성, 박예현, 최아름, 김정현, 정성애, 변주란, 안소현, 조민선, 유영은
JOURNAL OF PERSONALIZED MEDICINE, 202311
1
염증으로 손상된 장 조직의 치료에 적용 가능한 세포 단계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2년 09월 ~ 2023년 08월
2
베트남 지역사회 자립을 위한 “보건의료ㆍ기후변화ㆍ일자리 창출” 교육 프로그램 수요조사
한국연구재단
2021년 05월 ~ 2022년
3
면역 불균형으로 유발된 질환에서 치료 효과를 높인 세포 신기술을 이용한 효율적 적용 방법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1년 03월 ~ 2022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