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SNSLab

숭실대학교 전자공학전공

박민호 교수

Cloud Computing Security

Economic Denial of Sustainability (EDoS)

Wearable Device Security

SNSLab

전자공학전공 박민호

SNSLab은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클라우드 컴퓨팅, 네트워크 보안, 그리고 인공지능 기반 네트워크 관리 및 침입 탐지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SDN의 유연성과 중앙 집중적 제어 기능을 활용하여,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보안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DDoS, ARP 포이즈닝, DNS 증폭 공격 등 최신 네트워크 공격에 대한 탐지 및 방어 기법을 연구하며, 실시간 트래픽 분석과 이상 탐지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과 딥러닝을 활용한 네트워크 침입 탐지 시스템 개발은 본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대규모 네트워크 트래픽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상 및 비정상 트래픽을 구분하고, 새로운 공격 패턴을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가상머신 배치, 자원 할당,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등 다양한 관리 이슈와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최적화된 알고리즘과 자동화된 보안 관제 시스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차세대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알고리즘 설계도 본 연구실의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차량 통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자가 조직화 네트워크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 자율적 네트워크 구성, 그룹 키 관리, 멀티캐스트 보안, 익명 통신 등 다양한 보안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 IoT 등 미래 지향적 응용 분야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IoT 환경에서의 경량화된 보안 기술 개발, 효율적인 사용자 인증 및 데이터 암호화, 네트워크 구성 및 보안성 강화 등 새로운 네트워크 패러다임에 대응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실제 산업 현장과 연계한 다양한 프로젝트와 특허 출원을 통해, 연구 성과의 실용화와 산업적 파급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SNSLab은 앞으로도 SDN, 클라우드, 인공지능, 네트워크 보안 등 첨단 ICT 융합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하며,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과 안전한 디지털 사회 구현에 기여할 것입니다.

Cloud Computing Security
Economic Denial of Sustainability (EDoS)
Wearable Device Security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 및 네트워크 보안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크(SDN)는 네트워크의 제어와 데이터 전송을 분리하여 중앙 집중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혁신적인 네트워크 아키텍처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SDN의 구조적 특성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에 대응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DN 환경에서 발생하는 DDoS, ARP 포이즈닝, DNS 증폭 공격 등 다양한 공격 유형에 대한 탐지 및 방어 기법을 연구하며, 이를 통해 네트워크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특히, SDN의 유연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모니터링하고, 이상 징후를 신속하게 탐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반의 이상 탐지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높은 정확도와 신속성을 보장하는 보안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SDN 기반의 네트워크 가상화 및 서비스 기능 체이닝(SFC)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 분석과 방어 기술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클라우드 컴퓨팅, IoT, 5G 네트워크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인프라의 보안 수준을 한층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SDN과 네트워크 보안의 융합 연구를 통해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요구되는 지능형 보안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입니다.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반 네트워크 침입 탐지와 클라우드 보안
머신러닝과 딥러닝은 최근 네트워크 보안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네트워크 트래픽의 방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정상 트래픽과 비정상 트래픽을 효과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다양한 기계학습 기반의 침입 탐지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SDN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공격 시나리오에 대응하기 위해, 분산형 자기조직화 지도(Distributed-SOM), 그래프 신경망(GNN), 강화학습 등 최신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는 가상머신 배치, 자원 할당, 네트워크 슬라이스 관리 등 다양한 관리 이슈가 존재하며, 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위협을 사전에 탐지하고 방어하는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실은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침입 탐지, EDoS(Economic Denial of Sustainability) 공격 탐지, 봇넷 탐지 등 다양한 보안 기술을 연구하며,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인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OpenStack 등 오픈소스 클라우드 플랫폼과의 연동을 통해 실시간 보안 관제 및 자동화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IoT 환경 등 새로운 네트워크 패러다임에서도 머신러닝 기반의 보안 기술을 확장 적용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인공지능과 네트워크 보안의 융합을 통해, 지능형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의 고도화와 실용화를 선도해 나갈 것입니다.
차세대 네트워크 프로토콜 및 알고리즘 설계
본 연구실은 차량 통신 네트워크, 무선 네트워크, 자가 조직화 네트워크(Self-Organizing Networks) 등 다양한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요구되는 프로토콜 및 알고리즘 설계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차량 간 통신(VANET), 5G 및 IoT 네트워크에서의 효율적인 데이터 전송과 네트워크 자원 관리, 그리고 네트워크의 자율적 구성 및 최적화 알고리즘 개발이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특히, 네트워크의 동적 환경 변화에 따라 자율적으로 구조를 재구성하고,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알고리즘, 그리고 그룹 키 관리, 멀티캐스트 보안, 익명 통신 등 다양한 보안 프로토콜을 설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군사, 스마트 시티, 자율주행 차량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확장성과 보안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의 간섭 관리, 에너지 효율화, 가상머신 통합 및 배치 등 실질적인 네트워크 운영 효율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최적화 기법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차세대 네트워크 환경에서 요구되는 혁신적인 프로토콜과 알고리즘 개발을 통해, 미래 네트워크 기술의 발전을 이끌어 나갈 계획입니다.
1
Gyro Drift Correction for An Indirect Kalman Filter Based Sensor Fusion Driver
Chan-Gun Lee, Nhu-Ngoc Dao, Seonmin Jang, Deokhwan Kim, Yonghun Kim, Sungrae Cho
Sensors, 2016
2
Mitigating Wifi Interference to Improve Throughput for In-Vehicle Infotainment Networks
Woongsoo Na, Nhu-Ngoc Dao, Sungrae Cho
IEEE Wireless Communications, 2016
3
Reliable Multicasting Service for Densely Deployed Military Sensor Networks
Woongsoo Na, Nhu-Ngoc Dao, Sungrae Cho
International Journal of Distributed Sensor Networks, 2015
1
차세대 지능형 네트워크 침입 탐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머신러닝 기반의 핵심 기술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2년 03월 ~ 2025년 02월
2
EDoS (Economic Denial of Sustainability) 공격 탐지 및 방어를 위한 보안 기술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0년 06월 ~ 2023년 02월
3
SDN 기반 보안관제 유스케이스 및 활용방안 연구
국가보안기술연구소
2018년 05월 ~ 2018년 1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