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허창회 연구실

이화여자대학교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허창회 교수

허창회 연구실은 대기물리와 기후 시스템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국내 대표적인 연구 그룹입니다. 본 연구실은 대기 중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물리적 현상과 이들이 기후 변화 및 극한 기상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위성 관측자료, 수치모델링, 그리고 다양한 기상 관측 데이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북태평양 알류샨 저기압, 엘니뇨-남방진동(ENSO), 북극진동(AO), 마든-줄리안 진동(MJO) 등 대규모 기후 변동성이 한반도 및 동아시아 지역의 기상·기후 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후 변화에 따른 폭염, 한파, 집중호우, 태풍 등 극한 기상현상의 발생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미래 기후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미세먼지(PM2.5, PM10) 등 대기오염 물질의 발생, 이동, 그리고 농도 예측을 위해 인공지능(AI)과 전통적인 수치모델(CMAQ, WRF 등)을 융합한 첨단 예측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딥러닝 기반의 예측 모델을 구축하여, 서울 등 대도시의 미세먼지 농도를 높은 정확도로 예측하며, 각종 기상 변수와 대기오염의 상호작용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모델의 해석 가능성 연구를 통해 예측 결과의 신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대기-해양-육상 탄소순환, 식생 변화, 도시화와 기후의 상호작용, 극지 및 고위도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정부 부처와 협력하여 사회적 의사결정 지원과 정책 수립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수십 년간 축적된 연구성과와 특허, 그리고 다수의 국제 학술지 논문 발표를 통해 국내외 기후과학 분야에서 선도적인 위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허창회 연구실은 앞으로도 대기물리 및 기후 시스템 연구, 인공지능 기반 대기오염 예측,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융합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기후위기 시대에 과학적 근거 기반의 정책 수립과 국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