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국대학교 JA 겸직교수진 조은경 교수
조은경 연구실은 법심리학과 범죄심리학을 기반으로, 진술분석, 거짓 탐지, 범죄자 및 피해자 심리 평가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는 국내 대표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SCAN, CBCA, 모델 스테이트먼트 등 다양한 진술분석 기법을 국내 수사 환경에 맞게 적용하고, 그 타당성과 신뢰도를 실증적으로 검증해왔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과 자연어처리 기술을 접목하여 진술분석 준거의 자동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진술 진위 판별 정확도 향상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범죄자와 피해자의 심리 평가, 재범위험성 예측, 보호관찰 및 교정 현장에서의 실무적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이코패시, 반사회성, 정신질환 등 다양한 심리적 특성을 평가하기 위한 도구의 개발과 타당화, 그리고 평가자의 훈련과 경험이 예측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주요 축을 이룹니다. 또한, 가정폭력, 성폭력, 스토킹 등 특정 범죄유형별로 재범위험성 평가도구를 개발하고, 그 현장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아동학대, 성폭력, 가정폭력 등 다양한 범죄유형에 대한 진술분석 기법의 적용 가능성과 한계, 그리고 실무적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동 및 장애인 피해자, 다문화 청소년 등 취약계층을 위한 맞춤형 면담 기법 개발과 피해자 보호 정책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경찰, 검찰, 법원 등 사법기관과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실제 정책과 제도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성과는 국내외 학술지와 학회에서 활발히 발표되고 있으며, 경찰청, 대검찰청, 법무부 등 주요 기관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정책적·실무적 파급효과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정부 및 공공기관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현장 실무자 교육과 평가도구 개발, 정책 자문 등 실질적인 사회적 기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은경 연구실은 앞으로도 법심리학과 범죄심리학의 학문적 발전과 더불어, 실무 현장에서의 적용성과 사회적 파급효과를 높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 역량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범죄 예방, 피해자 보호, 공정한 사법절차 확립에 기여하는 연구실로 자리매김하고자 합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