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박만 연구실

경북대학교 환경생명화학전공

박만 교수

박만 연구실

환경생명화학전공 박만

박만 연구실은 응용생명과학과를 기반으로 토양학, 토양화학, 무기재료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토양 내 유기물과 무기물의 상호작용, 점토광물 및 제올라이트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이들의 환경 및 농업적 응용에 대한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토양의 비옥도 증진, 오염물질의 제거, 작물 생육 개선 등 실질적인 농업 현장 문제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는 토양 내 중금속, 방사성 물질, 영양분의 이동 및 거동 규명, 기능성 점토 및 제올라이트 소재의 합성 및 특성화, 그리고 이들의 환경 및 농업적 활용입니다. 다양한 합성법을 통해 고순도, 고기능성의 무기재료를 개발하고, 이를 토양 개량, 환경 복원, 친환경 비료 개발 등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나노기술을 접목한 신소재 개발을 통해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개선과 작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수의 특허와 논문을 통해 독창적인 소재 합성법과 응용기술을 국내외에 알리고 있으며, 다양한 산학협력 및 국가 연구과제 수행을 통해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타인산칼륨 나노복합체, MgO2-실리카 나노복합체, 기능성 코팅제 등은 농업 및 환경 분야에서 높은 실용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과 환경보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토양 분석, 식물체 분석, 비료 개발 등 다양한 실험 및 현장 적용 연구를 통해 농업 현장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고 있습니다. 장기 시비, 점토광물 구조 변화, 양이온 교환능력 등 토양의 건강성과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초 및 응용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맞춤형 비료 개발, 친환경 농업기술 확산, 토양 오염 저감 등 실질적인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박만 연구실은 앞으로도 토양학, 무기재료화학, 나노소재 개발 등 다양한 융합연구를 통해 농업과 환경 분야의 혁신을 이끌어갈 것입니다.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산학협력을 통해, 미래 농업의 지속가능성과 환경보전을 위한 핵심 기술을 선도적으로 제공할 계획입니다.

토양학 및 토양화학
본 연구실은 토양학 및 토양화학 분야에서 오랜 기간에 걸쳐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토양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 분석을 바탕으로, 토양 내 유기물과 무기물의 상호작용, 양이온 교환능력, 그리고 토양 내 오염물질의 이동 및 거동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다양한 토양 환경에서의 중금속, 방사성 물질, 영양분의 흡착 및 이동 메커니즘을 규명하여 토양 오염 저감 및 비옥도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토양 내 점토광물, 제올라이트, 마가다이트 등 다양한 무기재료의 합성과 특성화 연구를 통해, 토양 개량 및 환경 복원에 활용 가능한 신소재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나노복합체, 계면활성제, 기능성 비료 등 첨단 소재를 토양 환경에 적용하여,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개선과 작물 생육 증진을 동시에 달성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토양의 장기적 비옥도 유지와 지속가능한 농업 실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기 시비 및 다양한 토양 관리 방법이 토양 유기물 분획, 점토광물 구조, 양분 순환 등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토양의 건강성 평가, 맞춤형 비료 개발, 친환경 농업기술 확산 등 실질적인 농업 현장 적용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무기재료화학 및 기능성 점토·제올라이트 소재 개발
연구실은 무기재료화학을 기반으로 한 기능성 점토 및 제올라이트 소재의 합성, 구조 분석, 응용 연구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합성법(용융염법, 수열합성, 고상반응 등)을 활용하여 고순도, 고기능성의 점토광물 및 제올라이트를 개발하고, 이들의 결정구조, 표면특성, 이온교환능력, 흡착특성 등을 정밀하게 규명합니다. 특히, 방사성 핵종, 중금속, 유기오염물 등 환경 유해물질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맞춤형 흡착제 및 촉매 소재 개발에 탁월한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나노기술을 접목한 무기-유기 하이브리드 소재, 나노복합체, 계면제어 기술 등 첨단 소재 연구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메타인산칼륨(KPO3) 나노복합체, MgO2-실리카 나노복합체, 기능성 코팅제 등은 비료, 환경개선제, 농업용 신소재로서 높은 활용 가능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재들은 토양 내 영양분의 지속적 공급, 오염물질의 효율적 제거, 작물 생육 촉진 등 다양한 농업 및 환경 분야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특허 및 논문을 통해 입증된 독창적 합성법과 응용기술은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무기재료화학의 기초와 응용을 아우르는 융합연구를 통해, 지속가능한 농업과 환경보전을 위한 혁신적 소재 개발에 앞장설 계획입니다.
1
Selective fluorination of the interlayer surface of layered silicates
박만
NEW JOURNAL OF CHEMISTRY, 202402
2
Sulfide-occluded zeolites: Cooperative adsorption-precipitation system for near perfect decontamination of aqueous Hg species
박만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202310
3
NH<sub>4</sub>F salt inclusion approach for auxiliary mesopores in zeolite Y
박만
JOURNAL OF SOLID STATE CHEMISTRY, 202303
1
데이터 기반 농업생산 혁신기술 개발 인력양성 교육연구단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2
청정 지효성 비료 원료로써의 메타인산칼륨 나노복합체(KPO3 nanocomposite)
한국연구재단
2024년 03월 ~ 2025년 02월
3
탄소저감형 인공토양 기반 기술 및 수입대체 기술 개발 기획 연구
농촌진흥청
2023년 09월 ~ 2023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