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Spacebranding

홍익대학교 건축학부

김주연 교수

Universal Design

Interior Design

Public Design

Spacebranding

건축학부 김주연

스페이스 브랜딩 연구실은 공간을 통한 브랜드 가치의 확장과 감성적 경험 디자인을 핵심으로 연구하는 디자인 전문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단순한 공간 디자인을 넘어, 브랜드의 철학과 세계관을 공간에 구현하여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브랜드의 스토리와 정체성을 공간에 녹여내어, 방문자가 공간을 체험하는 순간 브랜드와의 정서적 연결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설계합니다. 최근 오프라인 공간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면서, 팝업스토어, 플래그십 스토어, 체험형 매장 등 다양한 형태의 브랜드 공간이 소비자와의 소통 창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MZ세대와 같은 젊은 소비자층은 단순한 상품 구매를 넘어, 공간에서의 경험과 스토리, 그리고 SNS에 공유할 수 있는 '인스타그래머블'한 공간을 선호합니다. 이에 따라 연구실은 공간을 통한 브랜드 경험의 극대화, 감성적 자극, 오감 체험, 스토리텔링 등 다양한 디자인 전략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디오니소스적 공간' 개념을 바탕으로 감성적이고 본능적인 공간 경험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이성적이고 질서정연한 공간이 아닌, 본능적이고 감각적인 자극을 통해 방문자의 감정을 자극하고, 깊은 인상을 남기는 공간을 지향합니다. 이러한 공간은 방문자가 공간에 들어서는 순간 긍정적 감정을 유발하며, 브랜드에 대한 호감과 충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공간의 분위기, 상징적 오브제, 조명, 색채, 음악 등 다양한 요소가 어우러져 방문자가 공간에 몰입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연구실은 롯데월드 캐릭터 '로티'의 팝업스토어 '로티의 아파트'와 같은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공간 브랜딩의 실질적 효과와 가능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상품 판매 공간이 아니라, 캐릭터의 세계관과 라이프스타일을 공간에 구현하여 방문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연구실은 공간을 통한 브랜드 가치 확장, 감성적 경험 디자인, 소비자와의 감성적 소통 등 다양한 연구 성과를 축적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스페이스 브랜딩 연구실은 공간을 통한 브랜드 경험의 혁신, 감성적 공간 디자인, 사용자 중심의 경험 설계 등 다양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의 감성적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공간을 통한 새로운 가치 창출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Universal Design
Interior Design
Public Design
스페이스 브랜딩(Space Branding)과 브랜드 경험 디자인
스페이스 브랜딩은 공간을 통해 브랜드의 가치를 확장하고,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디자인 전략입니다. 단순히 물리적 공간을 꾸미는 것을 넘어, 브랜드의 철학과 정체성을 공간에 녹여내어 방문자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것이 핵심입니다. 예를 들어, 브랜드의 스토리와 세계관을 공간에 구현함으로써 소비자는 브랜드와의 정서적 연결을 경험하게 됩니다. 이러한 공간은 브랜드의 메시지를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감각을 통해 전달하며, 소비자는 공간을 직접 체험함으로써 브랜드에 대한 신뢰와 충성도를 형성합니다. 스페이스 브랜딩은 최근 오프라인 공간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되는 트렌드와 맞물려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특히 MZ세대와 같은 젊은 소비자층은 단순한 상품 구매를 넘어, 공간에서의 경험과 스토리, SNS에 공유할 수 있는 '인스타그래머블'한 공간을 선호합니다. 이에 따라 브랜드는 팝업스토어, 플래그십 스토어, 체험형 매장 등 다양한 형태의 공간을 통해 브랜드의 세계관과 감성을 전달하고,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은 브랜드의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소비자에게 잊지 못할 기억을 남깁니다. 스페이스 브랜딩의 성공적인 사례로는 롯데월드 캐릭터 '로티'의 팝업스토어 '로티의 아파트'가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단순한 상품 판매 공간이 아니라, 로티라는 캐릭터의 세계관과 라이프스타일을 공간에 구현하여 방문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방문객들은 공간에서 로티의 일상 소품을 만지고, 관련 상품을 구매하며, 브랜드의 새로운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입니다. 이처럼 스페이스 브랜딩은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의 감성적 연결고리를 강화하고, 브랜드의 가치를 공간을 통해 확장하는 핵심 전략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감성적 공간 경험과 디오니소스적 공간의 가치
현대 공간 디자인에서 감성적 경험은 매우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특히 '디오니소스적 공간'은 이성적이고 질서정연한 공간(아폴론적 공간)과 달리, 본능적이고 감각적인 자극을 통해 방문자의 감정을 자극하고,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이러한 공간은 단순히 기능적 만족을 넘어서, 방문자가 공간에 들어서는 순간 '기분이 좋다', '즐겁다'와 같은 긍정적 감정을 유발합니다. 이는 브랜드 공간에서 소비자의 첫인상과 브랜드에 대한 호감도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입니다. 디오니소스적 공간은 시대적 트렌드와 사회적 감수성에 따라 변화하며, 대중의 선호와 감성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예를 들어, 최근의 공간 디자인은 단순한 미적 요소를 넘어, 오감(시각, 청각, 후각, 촉각, 미각)을 자극하는 다양한 경험 요소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공간은 방문자에게 일상에서 벗어난 특별한 경험을 제공하며, 브랜드와의 감성적 유대감을 강화합니다. 또한, 공간의 분위기와 스토리텔링, 상징적 오브제, 조명과 색채, 음악 등 다양한 요소가 어우러져 방문자가 공간에 몰입할 수 있도록 설계됩니다. 이러한 감성적 공간 경험은 브랜드의 진정성과 차별성을 강조하는 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비자는 공간에서의 경험을 통해 브랜드의 가치와 철학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며, 이는 브랜드에 대한 신뢰와 충성도로 이어집니다. 더불어, 공간에서의 긍정적 경험은 소비자의 기억에 오래 남아, 재방문과 구전 효과를 유도합니다. 디오니소스적 공간은 결국 브랜드와 소비자 사이의 감성적 소통을 극대화하는 전략적 도구로, 현대 공간 디자인의 핵심 가치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1
The Effects of Long Tunnel Wall Design on Drivers` Visual Perception and Driving Safety: A Case Analysis Using Alexander`s Pattern Language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202502
2
빛의 유입에 따른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루이스 칸을 중심으로
김주연
기초조형학연구, 200711
3
조화와 소통을 위한 옥외전시 설명 패널디자인 연구
김주연
디자인학연구, 200711
1
Lotty's Apartment by Project Rent
Project Rent
2021년 08월 ~ 1970년
2
Lotty's Apartment by Project Rent
Project Rent
2021년 08월 ~ 1970년
3
초장대 K-지하고속도로 인프라 안전 및 효율 향상 기술 개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25년 04월 ~ 2025년 09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