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이동진 연구실

단국대학교 생명자원학부

이동진 교수

Antioxidant Activity

Antioxidative Activities

Drought Tolerance

이동진 연구실

생명자원학부 이동진

이동진 연구실은 식물유전육종학을 기반으로 다양한 식물의 유전적 특성 연구와 신품종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벼, 보리, 밀, 감자 등 주요 식량작물뿐만 아니라 약용식물, 허브, 특용작물 등 다양한 식물군을 대상으로 유전자원 수집, 보존, 특성 평가를 수행하며, 이를 바탕으로 내병성, 내염성, 내한성, 기능성 성분 증진 등 다양한 목적의 품종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분자마커, 유전자 지도 작성, 유전자 발현 분석 등 첨단 생명공학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유전육종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GM(유전자변형) 작물의 유전자 이동성, 안전성 평가, 환경위해성 평가 등도 중요한 연구 주제로 다루고 있으며, 관련 국가 과제와 연계하여 LMO 격리포장 위해관리, 종자 유전자원 보존관리 등 실질적인 보존관리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이동진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식물 유전자원의 수집과 보존, 그리고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종자은행 운영, 유전자원 특성평가, 유전자원 활용성 증진 등 실질적인 보존관리 기술 개발이 주요 연구 내용이며, RNA-sequencing 등 첨단 유전체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과 안정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국제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와의 공동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지 적응형 품종 개발, 기술 이전, 농업생산성 향상, 생물다양성 보존 등 글로벌 농업 발전과 식량안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동진 연구실은 앞으로도 식물유전육종학 및 유전자원 보존관리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지속하며, 농업의 지속가능성과 미래 식량안보를 위한 신품종 개발, 생물다양성 보존, 국제 협력 확대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입니다.

Antioxidant Activity
Antioxidative Activities
Drought Tolerance
식물유전육종학
식물유전육종학은 식물의 유전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품종을 개발하는 학문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식물 유전자원의 수집과 보존, 그리고 이들의 유전적 다양성 평가를 통해 우수한 형질을 가진 작물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벼, 보리, 밀, 감자 등 주요 식량작물뿐만 아니라 약용식물, 허브 등 다양한 식물군을 대상으로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유전육종 연구는 분자마커, 유전자 지도 작성, 유전자 발현 분석 등 첨단 생명공학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를 통해 내병성, 내염성, 내한성, 기능성 성분 함량 증진 등 다양한 목적의 품종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GM(유전자변형) 작물의 유전자 이동성, 안전성 평가, 환경위해성 평가 등도 중요한 연구 주제로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량안보와 농업의 지속가능성 확보에 기여하며, 기후변화와 같은 환경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신품종 개발로 이어집니다. 더불어, 국제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와의 공동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어 글로벌 농업 발전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식물유전자원 보존 및 관리
식물유전자원 보존 및 관리는 농업생명과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식물 유전자원의 수집, 보존, 특성 평가, 그리고 효율적인 관리 시스템 구축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종자은행 운영, 유전자원 특성평가, 유전자원 활용성 증진 등 실질적인 보존관리 기술 개발이 주요 연구 내용입니다. 특히, LMO(유전자변형생물체) 격리포장 위해관리, 종자 유전자원 보존관리, GM작물의 환경위해성 평가 등 국가적 과제와 연계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체계적인 유전자원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미래 농업의 기반이 되는 유전자원의 지속가능한 활용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RNA-sequencing 등 첨단 유전체 분석 기술을 활용하여 유전자원의 유전적 다양성과 안정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농업생산성 향상, 생물다양성 보존, 신품종 개발 등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며, 국제적 유전자원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글로벌 식량안보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개발도상국과의 협력 프로젝트를 통해 현지 적응형 품종 개발 및 기술 이전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1
몽골의 식물유전자원 연구현황
10055648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1970
2
러시아의 농업현황
10055648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지, 1970
3
Agricultural education and research system in Mongolia
10055648
J. Kor. Sco. Intl. Agr, 1970
1
LMO 격리포장 위해관리 기술 개발
농촌진흥청
2023년 ~ 2023년 12월
2
종자 유전자원 보존관리 2023(단국대 이동진)
농촌진흥청
2023년 ~ 2023년 12월
3
LMO 외부유출 방지를 위한 격리포장 안전기준 개선(2공동)
농촌진흥청
2022년 ~ 2022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