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정승아 연구실

아주대학교 안과학교실

정승아 교수

정승아 연구실

안과학교실 정승아

정승아 연구실은 사시 및 소아안과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연구실로, 소아 환자들의 시력 발달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사시의 임상적 특성, 진단 및 치료법, 그리고 수술적·비수술적 치료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특히, 간헐외사시, 내사시, 상사시 등 다양한 사시 유형에 대한 임상 연구와 함께, 가상현실(VR) 및 혼합현실(MR)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진단 및 치료 도구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첨단 기술의 도입은 소아 환자들의 협조도를 높이고,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가능하도록 돕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신경안과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두개골조기유합증, 외상성 뇌손상, 시신경병증 등 신경학적 질환이 동반된 소아 환자들의 안과적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며, 복합 질환 환자에 대한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적 요인에 의한 망막질환, 시신경염, 근육마비 등 다양한 복합 안과질환의 임상 양상과 치료 결과를 다각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정승아 연구실은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며, 최신 임상 지견을 공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연구재단 등과의 협력 연구를 통해 국가적 연구 역량 강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소아안과 및 신경안과 분야의 진단과 치료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연구실은 소아 환자들의 시력 보존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임상 현장에서 실제로 적용 가능한 혁신적인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승아 연구실은 소아안과 및 신경안과 분야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지속해 나갈 것입니다.

사시 및 소아안과 질환의 진단과 치료
정승아 연구실은 사시와 소아안과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사시는 두 눈의 정렬이 맞지 않는 질환으로, 특히 소아에서 흔히 발생하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시력 발달에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사시 유형, 특히 간헐외사시, 내사시, 상사시 등 다양한 형태의 사시에 대한 임상적 특성과 치료법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에서는 사시의 수술적 치료뿐만 아니라 비수술적 치료법, 예를 들어 가림 치료, 약물 치료, 특수 안경 처방 등 다양한 치료법의 효과를 분석합니다. 또한, 사시 환아의 임상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수술 전후의 변화, 시력 개선 정도,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와의 연관성 등 다양한 임상적 지표를 연구합니다. 최근에는 가상현실(VR) 및 혼합현실(MR)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진단 및 치료 도구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사시 및 소아안과 질환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궁극적인 목표는 소아 환자들의 시력 발달을 극대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습니다.
신경안과 및 복합 안과질환 연구
정승아 연구실은 신경안과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신경안과는 시신경, 외안근, 뇌와 관련된 다양한 안과 질환을 다루는 분야로, 사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연구실은 두개골조기유합증, 뇌손상, 신경병증 등 복합적인 신경학적 질환이 동반된 소아 환자들의 안과적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두개골 성형술을 받은 소아에서의 장기적인 안과적 변화, 외상성 뇌손상 환아에서의 망막 및 시신경 변화, COVID-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시신경병증 등 다양한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신경안과 질환의 진단 및 치료법을 연구합니다. 또한, 유전적 요인에 의한 망막질환, 시신경염, 근육마비 등 복합적인 질환의 임상 양상과 치료 결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계와 안과 질환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복합 질환 환자에 대한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신경안과학회와의 협력을 통해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1
Impact of social distancing policy on pediatric emergency ophthalmic severity during the coronavirus disease 2019 pandemic
정승아
PEDIATRICS INTERNATIONAL, 202410
2
Clinician-Driven Reanalysis of Exome Sequencing Data From Patients With Inherited Retinal Diseases
정승아
JAMA Network Open, 202405
3
A cross-sectional study of ophthalmologic examination findings in 5385 Koreans presenting with intermittent exotropia
정승아, 최동규, 김대희
Scientific Reports, 202301
1
혼합현실을 이용한 비언어적 시력측정검사 개발
한국연구재단
2023년 03월 ~ 2024년 02월
2
간헐외사시 환아에서 가상현실을 이용한 원거리 입체시 측정방법 개발
한국연구재단
2018년 03월 ~ 2019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