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사시 및 소아안과 질환의 진단과 치료
정승아 연구실은 사시와 소아안과 질환의 진단 및 치료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사시는 두 눈의 정렬이 맞지 않는 질환으로, 특히 소아에서 흔히 발생하며 조기 진단과 치료가 시력 발달에 매우 중요합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사시 유형, 특히 간헐외사시, 내사시, 상사시 등 다양한 형태의 사시에 대한 임상적 특성과 치료법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에서는 사시의 수술적 치료뿐만 아니라 비수술적 치료법, 예를 들어 가림 치료, 약물 치료, 특수 안경 처방 등 다양한 치료법의 효과를 분석합니다. 또한, 사시 환아의 임상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수술 전후의 변화, 시력 개선 정도, 주의력결핍과다활동장애(ADHD)와의 연관성 등 다양한 임상적 지표를 연구합니다. 최근에는 가상현실(VR) 및 혼합현실(MR)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진단 및 치료 도구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사시 및 소아안과 질환의 조기 진단과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으며, 국내외 학술지에 다수의 논문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궁극적인 목표는 소아 환자들의 시력 발달을 극대화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있습니다.
2
신경안과 및 복합 안과질환 연구
정승아 연구실은 신경안과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신경안과는 시신경, 외안근, 뇌와 관련된 다양한 안과 질환을 다루는 분야로, 사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습니다. 연구실은 두개골조기유합증, 뇌손상, 신경병증 등 복합적인 신경학적 질환이 동반된 소아 환자들의 안과적 특징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두개골 성형술을 받은 소아에서의 장기적인 안과적 변화, 외상성 뇌손상 환아에서의 망막 및 시신경 변화, COVID-19 백신 접종 후 발생한 시신경병증 등 다양한 임상 사례를 바탕으로 신경안과 질환의 진단 및 치료법을 연구합니다. 또한, 유전적 요인에 의한 망막질환, 시신경염, 근육마비 등 복합적인 질환의 임상 양상과 치료 결과를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계와 안과 질환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복합 질환 환자에 대한 맞춤형 치료 전략을 수립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신경안과학회와의 협력을 통해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임상 현장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