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tomotive Control Lab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최세범 교수
Autonomous Vehicle Control
Vehicle Chassis Control
Smart Damper Systems
기계공학과 최세범
KAIST 기계공학과 자동차 제어 연구실은 차량 동역학, 첨단 제어, 자율주행, 에너지 효율 및 친환경 기술 등 자동차 분야의 핵심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듀얼 클러치 트랜스미션(DCT), 전자식 브레이크, 전동식 스티어링, 4륜 구동 시스템 등 다양한 차량 부품의 동작 원리와 제어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며, 실제 차량 및 시험 벤치에서의 실험을 통해 이론과 실무를 접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모델 기반 제어, 예측 제어(MPC), 슬라이딩 모드 제어, 적응 제어 등 첨단 제어 기법을 활용하여 차량의 주행 안정성, 조향, 제동, 가속 등 다양한 동적 특성을 최적화합니다. 타이어-노면 마찰계수 추정, 개별 타이어 힘 추정, 차량 질량 및 무게중심 실시간 추정, 클러치 및 엔진 토크 추정 등 차량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자율주행, ADAS, 에너지 효율 향상, 안전성 증대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자율주행 및 지능형 차량 시스템 분야에서는 환경 인식, 경로 계획, 충돌 회피, 차선 추종, 차량 간 협력 등 자율주행의 전 과정을 아우르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머신러닝, 딥러닝, 강화학습 등 인공지능 기법을 활용한 도로 유형 인식, 초음파 및 영상 기반 환경 인식, 실시간 경로 생성 및 최적화, 긴급 충돌 회피 제어 등 다양한 주제를 다루며, 실제 도로 환경에서의 견고한 알고리즘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 및 친환경 차량 기술 분야에서는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의 동력전달계 제어, 클러치 및 변속기 효율 최적화, 회생제동 시스템, 엔진 및 배출가스 제어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합니다. 또한, 희토류 등 전략 광물의 확보와 자동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 에너지 전환 정책 및 글로벌 공급망 이슈 등 산업 정책적 측면도 함께 연구하여 미래 자동차 산업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초음파, IMU, GPS, 지능형 타이어 등 다양한 센서 융합 기반의 상태 추정 및 고장 진단 알고리즘 개발, 대규모 정밀지도 생성 및 갱신, 대형트럭 및 셔틀 등 특수 목적 자율주행 플랫폼 개발 등 산업계와 연계된 실용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국내외 유수 학술지 및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기술이전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회에 환원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