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DxD Lab

한국과학기술원 산업디자인학과

홍화정 교수

Digital Health

Human-AI Interaction

Inclusive Design

DxD Lab

산업디자인학과 홍화정

DxD 연구실은 KAIST 산업디자인학과에 소속된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CI) 연구 그룹으로, 디자인, 인터랙션, 데이터의 융합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미션은 데이터와 인공지능(AI)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깊이 이해하고, 기술이 모두에게 책임 있고 접근 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디지털 헬스, 포용적 AI/알고리즘, 디자인 미래 등 다양한 주제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만성 정신 건강 관리, 감정노동자 지원,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 등 사회적 소외 계층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솔루션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MindBattery, MindfulDiary, DiaryMate, RoutineAid, MindTerior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실제 사용자의 삶에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방법론과 데이터 기반 분석, 인공지능 기술을 결합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정밀하게 이해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DxD 연구실은 인간-AI 상호작용 분야에서 AI의 사회적 책임성과 윤리적 설계 원칙을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알고리즘의 편향성, 투명성, 설명 가능성, 그리고 포용적 디자인 등 다양한 이슈를 다루며, AI가 사회적 약자에게도 공정하게 작동할 수 있도록 연구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Inclusive by Design, Human-AI Interaction, Data Storytelling 등 다양한 프로젝트를 통해 기술의 사회적 영향과 미래 방향성을 비판적으로 탐구합니다. 연구실은 데이터와 스토리텔링의 융합을 통해 인간과 사회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하고,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디자인 방법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디자인 실험, 사용자 참여형 워크숍, 시각화 연구 등 다양한 접근을 통해 데이터가 인간의 자기성찰, 행동 변화,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와 디자인이 사회적 포용성과 인간 중심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DxD 연구실은 앞으로도 기술과 사회, 인간의 교차점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하며, 모두를 위한 더 나은 미래를 설계하는 데 앞장설 것입니다. 다양한 학제 간 협력과 실제 사용자 참여를 통해, 기술이 사회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모두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기여하고자 합니다.

Digital Health
Human-AI Interaction
Inclusive Design
디지털 헬스와 웰빙을 위한 인터랙티브 기술 개발
DxD 연구실은 디지털 헬스와 웰빙을 증진하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만성 정신 건강 문제를 겪는 사람들이 일상에서 자신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디지털 솔루션을 설계하고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기반의 스트레스 예측 시스템, 감정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게임, 그리고 개인 맞춤형 심리적 지원 도구 등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사용자와의 협업을 통해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경험과 피드백을 바탕으로 기술의 실효성과 접근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예를 들어, 감정노동자를 위한 MindBattery, 자폐 스펙트럼 장애인을 위한 RoutineAid, 정신 건강 저널링을 지원하는 MindfulDiary와 DiaryMate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인공지능 기술이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사용자의 상태를 정밀하게 파악하고 맞춤형 개입을 제공합니다. 궁극적으로 DxD 연구실은 기술이 단순히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사용자가 자신의 심리적·정서적 상태를 인식하고 스스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통해 사회적 소외 계층을 포함한 모든 사람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포용적 디지털 헬스 환경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포용적 인공지능과 인간-AI 상호작용 디자인
DxD 연구실은 인공지능 기술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사회적 영향을 비판적으로 탐구하며, 포용적이고 공정한 AI 시스템 설계를 지향합니다. 인간-AI 상호작용(Human-AI Interaction) 분야에서, AI가 인간의 행동과 우려를 민감하게 반영할 수 있도록 디자인 프로세스를 도입하고, AI와의 효과적인 소통 및 협업 방안을 연구합니다. 예를 들어,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저널링 지원, 알고리즘 편향성 분석, 그리고 인간 중심의 AI 인터페이스 설계 등이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이 연구는 다양한 사회적 배경과 특성을 가진 사용자를 고려하여, AI가 소수자나 취약계층에게도 공정하게 작동하도록 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Inclusive by Design 프로젝트에서는 기술이 사회적 약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양한 현실을 반영하는 포용적 기술 개발을 목표로 합니다. 또한, 알고리즘의 투명성과 설명 가능성, 사용자 신뢰 구축, 그리고 AI의 사회적 책임성 강화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DxD 연구실은 인간과 AI가 상호 보완적으로 협력할 수 있는 미래를 그리며, 기술이 사회적 불평등을 심화시키지 않고 모두에게 이로운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실증 연구와 디자인 실험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AI 기술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적 설계 원칙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데이터 스토리텔링과 디자인 미래
DxD 연구실은 데이터와 스토리텔링의 융합을 통해 인간과 사회를 더 깊이 이해하고, 새로운 디자인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데이터 스토리텔링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데이터를 창의적으로 해석하고 시각화하여 사람, 조직, 문화, 사회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데이터 기반 디자인 실험과 사용자 참여형 워크숍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데이터 조작(Data Manipulation), 시각화 썸네일 디자인, 그리고 데이터 기반 만남 서비스(Datopia) 등 혁신적인 프로젝트를 통해 데이터가 인간의 자기성찰과 행동 변화, 그리고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데이터가 개인의 삶과 사회 구조에 미치는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균형 있게 분석하며, 데이터 활용의 윤리적·비판적 관점을 강조합니다. 궁극적으로 DxD 연구실은 데이터와 디자인의 교차점에서 미래 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디자인 방법론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가 인간 중심의 가치와 사회적 포용성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새로운 디자인 미래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1
A Large-Scale Real-World Evaluation of an LLM-Based Virtual Teaching Assistant
Sunjun Kweon, Sooyohn Nam, Hyunseung Lim, Hwajung Hong, Edward Choi
ACL (Industry), 2025
2
Beyond the Scroll: Exploring the Design Space of Balanced Short-form Video Consumption through Everyday User Experiences
Yeohyun Jung, Suyeon Seo, Hwajung Hong
DIS PWiP, 2025
3
From Impulsive Investment to Mindful Decisions: Exploring Design Opportunities of AI-Mediated Interventions for Emotionally Biased Investors
Sooyohn Nam, Yeohyun Jung, Hwajung Hong
DIS PWiP, 2025
1
MindfulDiary
2024년 ~ 1970년
2
Unlock Life with a Chat(GPT)
2024년 ~ 1970년
3
DiaryMate
2023년 ~ 197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