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조수진 연구실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조수진 교수

Personalized Nutr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ine

Bronchopulmonary Dysplasia

조수진 연구실

의과대학 조수진

조수진 연구실은 신생아학 및 소아과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연구실로, 신생아 집중치료와 극소저체중출생아 관리, 신생아 영양 및 성장, 그리고 임상 데이터 기반의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국 신생아 네트워크(KNN) 및 아시아 신생아 네트워크(AsianNeo) 등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를 통해 대규모 코호트 연구와 다기관 임상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신생아의 생존율 향상, 합병증 예방, 장기적 건강 결과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생아 소생술, 기관지폐형성이상(BPD), 신생아 패혈증, 뇌실내 출혈 등 주요 신생아 질환의 발생률과 예후 인자 분석, 그리고 임상지침 개발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 NICU의 진료 표준화와 질 향상을 위해 다양한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국제적 수준의 진료 가이드라인을 도입·적용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신생아기 초기 혈소판 감소증, 위 천공, 감염 질환 등 다양한 임상적 이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신생아 영양 및 성장 분야에서는 모유수유의 효과, 조기 영양공급, 영양소 섭취 패턴과 성장 및 대사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심층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온톨로지 기반의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여 NICU에서 신생아의 영양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환자별 맞춤형 영양 처방을 제안하는 등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연구실은 출생코호트 연구를 통해 아동기 성장, 대사질환, 만성질환 위험 예측 등 전 생애주기적 건강관리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임상 및 역학 연구를 바탕으로 신생아 및 소아의 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 제안과 임상지침 개발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조수진 연구실은 앞으로도 신생아 및 소아의 건강한 미래를 위해 임상과 연구, 교육을 아우르는 선도적 역할을 지속할 것이며, 최신 의학 지식과 첨단 기술을 접목한 혁신적인 연구를 통해 국내외 신생아학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Personalized Nutrition
Artificial Intelligence in Medicine
Bronchopulmonary Dysplasia
신생아 집중치료와 극소저체중출생아 관리
조수진 연구실은 신생아 집중치료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극소저체중출생아(VLBWI)와 미숙아의 생존율 향상 및 장기적인 건강 결과 개선을 목표로 다양한 임상 연구와 코호트 연구를 진행해왔습니다. 한국 신생아 네트워크(KNN) 데이터를 활용하여 신생아 소생술, 기관지폐형성이상(BPD), 뇌실내 출혈, 신생아 패혈증 등 주요 합병증의 발생률과 예후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신생아 소생술 가이드라인 개발과 실제 임상 적용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NICU(신생아중환자실) 간의 진료 패턴 차이, 의료 자원 분포, 치료 결과에 대한 다국가 비교 연구를 통해 아시아 신생아 네트워크(AsianNeo)와 협력하여 국제적 수준의 진료 표준화와 질 향상 활동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생아기 초기 혈소판 감소증, 신생아 위 천공, 신생아기 감염 질환 등 다양한 임상적 이슈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신생아 집중치료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신생아의 생존율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신경발달, 성장, 만성질환 발생 등 전 생애주기적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신생아 집중치료의 최신 지견을 반영한 임상지침 개발과, 환자 맞춤형 치료법 도입을 통해 국내 신생아 진료의 질적 도약을 이끌어갈 계획입니다.
신생아 영양 및 성장, 맞춤형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개발
조수진 연구실은 신생아 영양 및 성장에 관한 심층 연구와 더불어, 최신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CDSS)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미숙아 및 극소저체중출생아의 영양 공급은 생존과 신경발달, 만성질환 예방에 매우 중요한 요소로, 연구실은 모유수유, 조기 영양공급, 영양소 섭취 패턴과 성장 및 대사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한 다수의 코호트 및 임상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특히, 모유수유의 이점과 모유를 통한 감염 예방, 성장 촉진 효과에 대한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온톨로지 기반의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을 개발하여 NICU에서 신생아의 영양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환자별 맞춤형 영양 처방을 제안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대규모 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영양 가이드라인 준수 여부를 평가하고, 영양 불균형이나 성장 지연 위험이 있는 환자를 조기에 선별하여 의료진의 신속한 개입을 돕습니다. 또한, 신생아의 장기적인 성장 추적과 대사질환 위험 예측에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생아 집중치료실의 임상 효율성 및 환자 안전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향후 빅데이터와 AI 기술을 접목한 정밀의료 실현의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앞으로도 신생아 영양 및 성장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와 기술 개발을 지속하여, 신생아의 건강한 미래를 위한 선도적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1
Addressing the gap in preterm resuscitation practices in high-income and low-middle income countries: a multicenter survey of the Asian neonatal network collaboration
조수진, Fuyu Miyake, Tetsuya Isayama, Rinawati Rohsiswatmo, Rizalya Dewi, Jennie Sutantio, Zubair Amin, 장윤실, 윤영아, 김세연, Satoshi Kusuda
FRONTIERS IN PEDIATRICS, 202501
2
Asian Neonatal Network Collaboration (AsianNeo): a study protocol for international collaborative comparisons of health services and outcomes to improve quality of care for sick newborn infants in Asia - survey, cohort and quality improvement studies
Isayama Tetsuya, Imperial Ma Lourdes S., Velasco Belen Amparo E., Chang Yun Sil, Cho Su Jin, Youn Youngah, Quek Bin Huey, Poon Woei Bing, Amin Zubair, Jayaratne Kapila, Kumara Saman, Miyake Fuyu, Lin Yuh-Jyh, Chang Jui-Hsing, Lin Hsiang Yu, Lin Ming-Chih, Nuntnarumit Pracha, Ngerncham Sopapan, Prempunpong Chatchay, Prempraphan Pathaporn, Supapannachart Sarayut, Kusuda Satoshi, Rohsiswatmo Rinawati, Dewi Rizalya, Ozawa Yuri, Tomotaki Seiichi, Morisaki Naho, Chee Seok Chiong, Neoh Siew Hong, Asian Neonatal Network Collabo
BMJ OPEN, 202407
3
An Ontology and Rule-Based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ersonalized Nutrition Recommendation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조수진, Avneet Kaur, Harpreet Singh, Ravneet Kaur, Monika Jain, Ryan M. McAdams, Yao Sun, Shubham Gupta, Raghava Mutharaju, Satish Saluja, Jonathan Palma
IEEE ACCESS, 202312
1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연구 지원센터 지정(III)
환경부
2017년 02월 ~ 2018년 02월
2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연구 지원센터 지정(II)
환경부
2016년 02월 ~ 2017년 02월
3
어린이 환경보건 출생코호트연구 지원센터 지정
환경부
2015년 04월 ~ 2016년 0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