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연구실
녹색성장지속가능대학원-탄소중립이행평가 김소영
김소영 연구실은 과학기술정책, 사회정의, 신흥기술의 윤리와 거버넌스, 그리고 고령화와 장애 등 다양한 사회적 이슈를 중심으로 융합적 연구를 수행하는 선도적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과학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정책적, 윤리적, 철학적 쟁점을 다각적으로 분석하며, 기술 발전이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 그리고 다양한 사회 집단에 미치는 효과를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특히, 과학기술정책과 사회정의의 접점에서 기술의 공공성, 포용성, 그리고 지속가능성 실현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합니다. 고령화 사회와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고령기술(gerontechnology) 및 보조기기, 인공지능 기반 돌봄 서비스 등 신기술의 사회적 수용성과 정책적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술이 모두를 위한 공공선이 될 수 있도록 학문적·실천적 기여를 하고자 합니다.
또한,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등 신흥기술의 윤리적·사회적 영향과 책임 있는 혁신, 규제, 거버넌스에 대한 연구를 통해, 기술 발전이 사회적 가치와 규범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하고, 윤리적 기준 마련과 정책적 대응 방안을 모색합니다. 국제적 협력과 글로벌 거버넌스의 중요성도 강조하며, 기술의 글로벌 확산과 규제 조화에 대한 연구도 병행합니다.
본 연구실은 과학기술과 정책의 상호작용, 글로벌 거버넌스, 지속가능한 발전, 과학외교, 국제정치경제 등 다양한 분야와의 융합 연구를 통해, 복잡한 글로벌 문제에 대한 혁신적이고 지속가능한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국내외 다양한 사례 연구와 정책 분석, 그리고 현장 중심의 실증 연구를 바탕으로, 과학기술정책이 모두를 위한 정의롭고 포용적인 사회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김소영 연구실은 과학, 기술, 사회, 정책의 경계를 넘어, 다양한 학문적 배경과 실천적 경험을 바탕으로 융합적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사회적 책임과 공공성을 갖춘 과학기술정책 연구를 통해, 인류 공동의 미래와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Government Funding
Science Values
Climate Change
과학기술정책과 사회정의
과학기술정책과 사회정의는 현대 사회에서 점점 더 중요한 연구 주제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과학기술의 발전이 사회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기술 발전이 사회적 불평등, 소외, 그리고 정의 실현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사회 집단, 특히 취약계층과 소수자의 관점에서 과학기술 정책이 어떻게 설계되고 집행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이론적·실증적 연구를 수행합니다.
이 연구 분야에서는 기술과 사회정의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법적, 정책적 쟁점을 다룹니다. 예를 들어, 인공지능, 빅데이터, 로봇 등 신기술이 사회적 약자에게 미치는 영향, 기술 접근성의 불평등, 그리고 기술 발전이 사회적 가치와 규범에 미치는 변화를 분석합니다. 또한, 과학기술 정책이 사회적 약자와 소수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포용적이고 공정한 사회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합니다.
본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사례 연구와 정책 분석을 통해, 과학기술정책이 단순히 기술적 효율성이나 경제적 성장에만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사회정의와 지속가능성, 그리고 민주적 가치 실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적 대안을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과학기술이 모두를 위한 공공선이 될 수 있도록 학문적·실천적 기여를 하고자 합니다.
고령화, 장애, 그리고 기술: 고령기술과 사회적 포용
고령화와 장애는 현대 사회가 직면한 중요한 도전 과제 중 하나입니다. 본 연구실은 고령화 사회에서의 기술 활용, 특히 고령기술(gerontechnology)과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및 정책을 중점적으로 연구합니다. 인구 구조의 변화에 따라 노인과 장애인의 사회적 참여와 자립을 지원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술의 사회적 수용성과 정책적 지원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입니다.
연구실에서는 보조기기, 스마트홈, 인공지능 기반 돌봄 서비스 등 다양한 신기술이 고령자와 장애인의 일상생활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윤리적·사회적 문제를 분석합니다. 또한, 기술 개발 과정에서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접근성, 그리고 사회적 포용성 증진을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에 대해 다각적으로 접근합니다. 이를 위해 실제 현장 사례와 정책 평가, 사용자 인터뷰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합니다.
이 연구는 단순히 기술 개발에 그치지 않고, 기술이 사회적 약자의 삶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제도적·정책적 환경을 조성하는 데 초점을 맞춥니다. 고령화와 장애 문제에 대응하는 기술 및 정책 연구를 통해, 모두가 존엄하게 살아갈 수 있는 포용적 사회 실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신흥기술의 윤리와 거버넌스
신흥기술의 윤리와 거버넌스는 인공지능, 로봇, 빅데이터, 사이버물리시스템(CPS) 등 급속히 발전하는 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따른 책임 있는 혁신, 규제, 정책적 대응을 다루는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신기술이 가져오는 사회적·환경적 변화와 위험을 분석하고, 기술의 책임 있는 개발과 활용을 위한 윤리적·정책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합니다.
특히, 인공지능과 로봇의 사회적 영향, 데이터 거버넌스, 기술 혁신의 지속가능성, 그리고 기술 발전에 따른 사회적 가치와 규범의 변화에 주목합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정부, 산업, 시민사회 등)와의 협력 연구를 통해, 신흥기술의 사회적 수용성과 신뢰 구축, 그리고 윤리적 기준 마련을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합니다. 또한, 국제적 협력과 글로벌 거버넌스의 중요성도 강조하며, 기술의 글로벌 확산과 규제 조화에 대한 연구도 병행합니다.
이 연구는 신기술이 사회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정적 영향과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실질적 정책 제안으로 이어집니다. 책임 있는 혁신과 윤리적 거버넌스 확립을 통해, 기술 발전이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학문적·정책적 기여를 하고자 합니다.
1
A Roadmap for DPRK’s Denuclearization Under the Consideration of Nuclear Latency
Kwon, J., Yim, M.S.
Transaction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Virtual Spring Meeting, 2021
2
Simulating the Evolution of North Korea’s First Nuclear Test
Kowon, J., Yim, M.S.
Transaction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Spring Meeting, 2022
3
Development of Appropriate Assistive Technology through Co-design
Kim, A. J., Choi, M. J., Lee. S. Y., Eun, S. D.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2022
1
(통합EZ)연구개발 투자와 혁신 성과의 연계: 성별 다양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우지수)(2024년도)
2
신기술의 국제안보에 대한 함의 분석 및 국제 네트워크 확대 방안 연구(2024년도)
3
원자력에너지와 RE100 병존 이슈 및 현황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