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rban Design & Informatics Lab
건축학부 김환용
도시설계정보연구실(UDIL)은 도시의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증적이고 데이터 기반의 도시계획 및 설계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도시 마스터플랜, 스마트시티 구현, 빅데이터 분석, GIS, BIM, 데이터 시각화 등 다양한 첨단 기술과 방법론을 활용하여,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효율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도시의 공간 구조, 인프라, 환경, 교통, 주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실질적인 정책 및 프로젝트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연구실은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도시재생, 철도 인프라 개발, 녹색 인프라와 대기질 개선 등 다양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도시문제 해결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와 GIS, BIM을 융합한 첨단 분석기법을 통해 도시 현상을 정량적으로 진단하고, 데이터 기반의 정책 수립과 성과 측정, 시각화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국제개발 및 공적원조(ODA) 분야에서도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도시 마스터플랜, 스마트시티, 인프라 개발 등 다양한 국제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현지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도시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학제 간 융합연구와 산학협력, 국제협력 등 다양한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도시계획 및 설계 분야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국내외 학술대회, 세미나, 워크숍 등에서 활발히 연구성과를 발표하며, 최신 도시이론과 실무를 접목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도시설계정보연구실은 데이터 기반의 혁신적 도시계획, 스마트시티, 국제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선도적인 연구를 이어가며,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Smart Construction
도시 마스터플랜 및 스마트시티 구현
도시 마스터플랜은 도시의 장기적 발전 방향과 공간 구조를 체계적으로 설계하는 과정으로, 도시의 성장과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핵심 전략입니다. 본 연구실은 도시의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특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도시의 인프라, 교통, 주거, 녹지, 공공시설 등 다양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설계합니다.
스마트시티 구현은 첨단 정보통신기술(ICT)과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하여 도시의 효율성과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스마트시티의 핵심 요소인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디지털 트윈, 도시 공간정보 시스템(GIS) 등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도시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민 참여와 거버넌스를 강화하여, 기술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의 스마트도시를 실현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다양한 도시개발 프로젝트와 연계되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토교통부, 지방자치단체, 국제개발기구 등과 협력하여 스마트시티 조성사업, 도시재생, 해외 원조 프로젝트 등에서 실증적이고 혁신적인 도시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빅데이터 분석, GIS 및 BIM 기반 도시계획
빅데이터 분석과 GIS(지리정보시스템), BIM(빌딩정보모델링)은 현대 도시계획과 설계에서 필수적인 도구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도시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도시 현상과 문제를 과학적으로 진단하고, 데이터 기반의 정책 및 계획 수립을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도시의 교통, 환경, 인구, 토지이용 등 복잡한 이슈에 대해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해법을 제시합니다.
GIS는 공간정보를 시각화하고 분석하는 기술로, 도시 내 다양한 현상을 지도상에서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연구실에서는 GIS를 활용하여 도시의 공간 구조, 인프라 네트워크, 재난 위험도, 녹지 분포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BIM은 건축 및 인프라 설계·시공 단계에서 3차원 모델링과 정보 통합을 통해 효율성과 협업을 극대화하는 기술로, 철도 인프라, 공공시설 등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접근은 도시계획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며, 실시간 데이터 시각화, 성과 측정, 비용-편익 분석 등 다양한 응용 연구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BIM과 GIS의 융합, 디지털 트윈, 데이터 시각화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도시 솔루션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국제개발 및 공적원조(ODA) 기반 도시 프로젝트
본 연구실은 국내뿐 아니라 해외 도시개발 및 국제협력 프로젝트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한 도시 마스터플랜 수립, 스마트시티 구현, 인프라 개발 등 다양한 ODA(공적개발원조) 사업을 수행하며, 국제적 도시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현지의 사회·경제·환경적 맥락을 반영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국제개발 프로젝트에서는 현지 정부, 국제기구, 민간기업 등과 협력하여, 도시계획, 교통, 환경, 주거, 재난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성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지 주민과의 소통 및 참여를 중시하여, 지속가능하고 자립적인 도시 발전을 도모합니다. 이를 위해 실증분석, 현장조사, 워크숍, 역량강화 교육 등 다양한 방법론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제협력 경험은 연구실의 연구 역량을 한층 강화시키고, 글로벌 도시문제에 대한 통찰과 해결책을 제시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국제개발 및 ODA 분야에서 혁신적이고 실질적인 도시 솔루션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갈 계획입니다.
1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Benefits of Using BIM in Design and Construction Stages for Railway Development
김환용
BUILDINGS, 202501
2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Infrastructure and Air Quality Issues―South Korean Cases
김환용
Land, 202408
3
The Relationship between Green Infrastructure and Air Pollution, History, Development, and Evolution: A Bibliometric Review
김환용
SUSTAINABILITY, 202408
1
2024년 청년 그라운드 조성 및 도시개발 구상 프로젝트 전시용역 계약
2
정규화 식생지수(NDVI)와 에머지(Emergy)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탄력도시 계획차별성 확보를 위한 연구
3
철도인프라 BIM 적용에 따른 성과측정방안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