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노정훈 연구실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노정훈 교수

노정훈 연구실

의과대학 노정훈

노정훈 연구실은 의학과와 공학의 융합을 바탕으로, 광학 및 양자전자학, 생체신호 측정,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역량은 광학 및 양자전자학의 이론적 기반 위에 실제 임상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의료기기 및 진단장비를 개발하는 데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의료진의 시술 효율성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레이저와 광센서 기술을 활용한 진단 및 치료 장비 개발에 있어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광유도 성대주입기, 광학적 신경감시 시스템, 다양한 파장의 레이저를 이용한 치과 및 이비인후과용 장비 등은 연구실의 대표적인 성과입니다. 이러한 장비들은 동물 실험과 임상시험을 통해 그 효용성과 안전성이 입증되고 있으며, 실제 의료 현장에 적용되어 환자 치료의 질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생체신호 기반의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에도 주력하고 있습니다. 맥파전달시간, 심박변이율, 혈압 등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IoT 기반의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환자의 실시간 건강 모니터링, 조기 진단, 응급상황 대응 등에 활용되어, 의료 서비스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인공지능 및 딥러닝 기술을 접목한 커뮤니케이션 보조기기, 자동 진단 시스템 등도 활발히 연구하고 있습니다. 중증 장애인이나 의사소통이 어려운 환자를 위한 맞춤형 솔루션 개발을 통해, 의료의 접근성과 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 특허 출원, 논문 발표 등을 통해 연구 성과의 실용화와 확산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처럼 노정훈 연구실은 첨단 광학기술과 생체신호 분석,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을 융합하여, 미래 의료기술의 혁신을 이끌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다양한 연구 활동과 성과는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앞으로도 의료기술 발전과 국민 건강 증진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입니다.

광학 및 양자전자학을 기반으로 한 의료기기 개발
노정훈 연구실은 광학 및 양자전자학의 원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의료기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레이저와 광센서 기술을 접목한 진단 및 치료 장비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시간 광유도 성대주입기, 광학적 초기우식 진단장치, 그리고 다양한 파장의 레이저를 이용한 치과 및 이비인후과용 장비 개발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정확한 진단과 안전한 시술을 목표로 하며, 동물 모델 및 임상시험을 통해 기술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광학적 신경감시 시스템, 레이저 룰러가 장착된 내시경, 그리고 다양한 광원 기반의 진단기기들은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의료진의 시술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광학적 신호처리, 분극반전 소자, 준위상정합 소자 등 첨단 광학소자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 현장에서 요구되는 고정밀, 고신뢰성의 진단 및 치료 솔루션을 제공하며, 국내외 특허와 논문 발표를 통해 연구 성과를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생체신호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및 의료정보 시스템
노정훈 연구실은 생체신호 측정 및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맥파전달시간(Pulse Transit Time), 심박변이율(Heart Rate Variability), 혈압, 혈류 등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조기 진단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무선 통신, IoT(사물인터넷) 기술과 결합되어, 가정 및 병원 환경 모두에서 적용 가능한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무선 펄스옥시미터, 혈압 시뮬레이터, 낙상 감지 시스템, 그리고 모바일 기반 응급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실제로 개발되어 임상 현장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인공지능 및 딥러닝 기술을 접목하여 장애인 및 중증 환자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보조기기, 자동 진단 시스템 등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를 통해 실용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
1
Simple technique to preserve the external branch of the superior laryngeal nerve during thyroidectomy: Clinical practicability of an attachable nerve stimulator
이병주, 이연우, 권현근, 노정훈, 신성찬, 이진춘, 성의숙
ASIAN JOURNAL OF SURGERY, 2021
2
A new injection rate estimation technique for on-site screening test of medication infusion pump by nurses
김건호, 노정훈, 남경원, 윤성욱
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MECHANICAL ENGINEERS PART H-JOURNAL OF ENGINEERING IN MEDICINE, 2020
3
Spectral characteristics of caries autofluorescence obtained from different locations and caries severities
권용훈, John J. Bang, Yong-Il Kim, Dong-Joon Lee, Franklin Garcia?Godoy, 노정훈, Ching-Chang Ko
JOURNAL OF BIOPHOTONICS, 2020
1
(공동개발기관) 신부전환자를 위한 효율적 신장관리 및 만성신부전환자의 응급혈액투석 개선을 위한 모바일 어플 개발
아이텍
2017년 12월 ~ 2018년 11월
2
(주관기관) 신부전환자를 위한 효율적 신장관리 및 만성신부전환자의 응급혈액투석 개선을 위한 모바일 어플 개발
아이텍
2017년 12월 ~ 2018년 11월
3
비지니스아이디어 사업화 지원사업
(재)부산테크노파크
2014년 02월 ~ 2014년 0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