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광학 및 양자전자학을 기반으로 한 의료기기 개발

노정훈 연구실은 광학 및 양자전자학의 원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의료기기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레이저와 광센서 기술을 접목한 진단 및 치료 장비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실시간 광유도 성대주입기, 광학적 초기우식 진단장치, 그리고 다양한 파장의 레이저를 이용한 치과 및 이비인후과용 장비 개발이 대표적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정확한 진단과 안전한 시술을 목표로 하며, 동물 모델 및 임상시험을 통해 기술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광학적 신경감시 시스템, 레이저 룰러가 장착된 내시경, 그리고 다양한 광원 기반의 진단기기들은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의료진의 시술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광학적 신호처리, 분극반전 소자, 준위상정합 소자 등 첨단 광학소자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의료 현장에서 요구되는 고정밀, 고신뢰성의 진단 및 치료 솔루션을 제공하며, 국내외 특허와 논문 발표를 통해 연구 성과를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2

생체신호 기반 스마트 헬스케어 및 의료정보 시스템

노정훈 연구실은 생체신호 측정 및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 헬스케어 시스템 개발에도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맥파전달시간(Pulse Transit Time), 심박변이율(Heart Rate Variability), 혈압, 혈류 등 다양한 생체신호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환자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조기 진단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무선 통신, IoT(사물인터넷) 기술과 결합되어, 가정 및 병원 환경 모두에서 적용 가능한 맞춤형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무선 펄스옥시미터, 혈압 시뮬레이터, 낙상 감지 시스템, 그리고 모바일 기반 응급환자 모니터링 시스템 등이 실제로 개발되어 임상 현장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더불어, 인공지능 및 딥러닝 기술을 접목하여 장애인 및 중증 환자를 위한 커뮤니케이션 보조기기, 자동 진단 시스템 등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의료진의 업무 효율성 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연구과제를 통해 실용화가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