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신동규 교수
신동규 연구실은 컴퓨터공학과를 기반으로 사이버전, 사이버 보안, 네트워크 침입 탐지, 인공지능 기반 보안 시스템 등 첨단 정보보호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군사시설 및 장비 방어를 위한 스텔스 정보수집, 네트워크 토폴로지 가시화, AI 기반 표적 식별 등 사이버전장 환경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실제 국방 및 국가 안보 분야에 적용 가능한 실용적 연구를 중점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빅데이터와 지능 추론을 활용한 사이버 위협 분석 및 예방 기술, 실시간 탐지와 취약점 분석, 예측 모델 개발 등 다양한 연구를 통해 사이버 공격에 대한 선제적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MITRE ATT&CK, Zero Trust 등 최신 보안 프레임워크와의 통합 연구를 통해 사이버 레질리언스 평가, 방어 효과도 측정, 방어 방책 우선순위 선정 등 체계적인 보안 평가 및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및 호스트 기반 침입 탐지 시스템 분야에서는 CNN, 오토인코더, Siamese 네트워크, Few-Shot Learning 등 최신 인공지능 기법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트래픽 데이터의 이상 탐지, 희소 클래스 문제 해결, 실시간 탐지 성능 향상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BGP 데이터셋, LID-DS 등 다양한 실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적대적 외부망 활동 탐지, 악성 사용자 활동 탐지, 공격 유형 분류 등 실질적이고 현장 적용 가능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이버 상황 인식 및 전장 가시화 기술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으며, 대규모 분산 빅데이터 처리 프레임워크, BGP Archive Data, CyCOP(사이버 공통작전상황도) 등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 시각화 도구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토폴로지, 공격 징후, 표적 정보 등을 직관적으로 가시화하는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사이버전장에서의 신속한 의사결정 지원, 지휘통제, 표적 우선순위 결정, 임무 영향 분석 등 군사적 활용뿐만 아니라, 민간 네트워크의 실시간 모니터링, 이상 탐지, 위협 대응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프로젝트, 논문, 특허, 학술대회 발표 등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으며, 국내외 학계 및 산업계에서 그 우수성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동규 연구실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이버 보안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하여 미래 사이버전 및 정보보호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