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Ai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Lab

아주대학교 환경안전공학과

이재영 교수

Deep Learning in Environmental Science

Climate Change Impact

Air Quality Management

Ai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Lab

환경안전공학과 이재영

Ai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Lab(대기오염 및 기후변화 연구실)은 대기환경 분야의 첨단 연구를 선도하는 연구실로, 미세먼지(PM1.0, PM2.5 등) 측정 및 분석, 대기오염물질의 발생 메커니즘 규명, 그리고 기후변화와의 상호작용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드론(UAV) 등 첨단 장비와 머신러닝, 딥러닝 등 최신 데이터 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대기 중 오염물질의 시공간적 분포와 발생원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기질 개선 및 오염 저감 정책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평가합니다. 연구실은 대기오염과 기후변화가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온도 및 미세먼지 농도 변화에 따른 사망률, 천식 등 호흡기 질환 발생률 예측, 극한기상(폭염, 한파 등)과 건강영향 분석, 취약계층 보호 방안 제시 등 실질적인 정책 제안까지 아우르며, 국내외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다기관 협력 연구도 진행 중입니다. 실내공기질(IAQ) 개선과 2차 에어로졸(SOA) 생성 메커니즘 연구도 본 연구실의 주요 분야입니다. 실내외 오염원에 따른 공기질 변화와 인체 노출량 평가, 스모그 챔버 실험을 통한 2차 오염물질 생성 과정 규명 등 다양한 실험 및 현장 연구를 통해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바이오차 기반 이산화탄소 흡착 소재 개발, 고속도로 대기오염 모니터링, 미세먼지 저감장치 효과성 평가 등 다양한 산학협력 및 정부과제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연구실은 대기환경 분야의 과학적 발전과 실질적 사회문제 해결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Ai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Lab은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 환경을 제공하며, 학부 인턴부터 석·박사 과정, 일반연구원까지 다양한 인재들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열린 연구실입니다. 대기환경, 기후변화, 환경공학 분야에 관심 있는 분들의 많은 참여와 협력을 기다립니다.

Deep Learning in Environmental Science
Climate Change Impact
Air Quality Management
미세먼지(PM) 측정 및 발생 메커니즘 규명
본 연구실은 미세먼지(PM1.0, PM2.5 등) 측정과 분석을 중심으로 대기 중 입자상 오염물질의 특성과 발생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지역과 환경에서 미세먼지의 농도, 화학적 조성, 계절별 변동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며, 이를 통해 미세먼지의 주요 발생원과 이동 경로를 규명하고자 합니다. 특히, 산업단지, 도심, 교외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미세먼지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지역별 맞춤형 대기질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드론(UAV)과 같은 첨단 측정 장비를 활용하여 대기 중 미세먼지의 수직 및 수평 농도 분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머신러닝 및 딥러닝 기반의 데이터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미세먼지의 발생원 예측 및 농도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세먼지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을 정밀하게 파악하고, 대기오염 저감 정책의 효과를 과학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민 건강 보호와 더불어, 국가 및 지역 단위의 대기질 관리 정책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또한, 미세먼지 저감 기술 개발, 실내외 공기질 개선, 미래 대기환경 변화 예측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 확장되고 있으며, 사회적 파급 효과가 매우 큽니다.
대기오염과 기후변화의 상호작용 및 건강영향 평가
연구실은 대기오염과 기후변화 간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규명하고, 이로 인한 인체 건강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기후변화로 인한 대기질 변화가 인구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미래 기후 및 인구 시나리오를 고려한 온도 및 미세먼지 농도 변화에 따른 사망률, 천식 등 호흡기 질환 발생률 예측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통계적 모델과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대기오염 및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단기 및 장기적 영향을 정량화합니다. 또한, 실내외 공기질 변화, 극한기상(폭염, 한파 등)과 건강영향, 취약계층(어린이, 노인 등) 보호 방안 등 실질적인 정책 제안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국내외 다양한 지역을 대상으로 한 다기관 협력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현대 사회에서,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한 과학적 근거 마련과 효과적인 정책 수립에 필수적입니다. 더 나아가, 국제적 기후변화 대응 및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달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실내공기질 및 2차 에어로졸 생성 연구
본 연구실은 실내공기질(IAQ) 개선과 2차 에어로졸(Secondary Organic Aerosol, SOA) 생성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실내외 오염원(조리, 환기, 교통 등)이 실내공기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다양한 환경에서의 오염물질 농도 변화와 인체 노출량을 평가합니다. 특히, 어린이집, 아파트 등 실제 생활공간에서의 실내공기질 측정 및 개선 방안 연구를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모그 챔버 실험을 통해 NO, SO2 등 전구물질의 광화학적 산화에 의한 2차 유기에어로졸 생성 과정을 규명하고, 다양한 환경 변수(자외선 세기, 온도, 습도 등)가 SOA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실내외에서 발생하는 2차 오염물질의 특성과 건강영향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내외 공기질 관리 및 오염물질 저감 기술 개발, 2차 에어로졸의 환경 및 건강영향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쾌적하고 건강한 생활환경 조성에 중요한 과학적 토대를 제공합니다.
1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O₂ Adsorption Efficiency of Biochar Produced Under Varying Conditions (working title)
Moon, S., Koh, S., Park, D., Lee, J.Y.*
, 2025
2
Predicting Altitude-Based Roadside Air Pollution Using UAVs and Machine Learning (working title)
Koh, C., Seo, S., Kim, S., Jeong, M., Kang, H., Lee, J.Y.*
, 2025
3
Prediction of airborne pollen concentrations in South Korea using machine learning (working title)
Hwang, H., Eeftens, M., Regettli, M., Lee, J.Y.*
, 2025
1
수도권 초미세먼지 발생원인 규명 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25년 ~ 2025년 03월
2
이산화탄소 포집 모듈 설계를 위한 흡착 소재 개발 및 기초실험 지원 용역
한국철도기술연구원
2024년 08월 ~ 2024년 12월
3
고속도로 대기오염 모니터링 및 대기환경 정보 구축 방안(제1차)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2024년 05월 ~ 2024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