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인간기계시스템 및 인간공학

본 연구실은 인간기계시스템과 인간공학 분야에서 오랜 기간에 걸쳐 심도 있는 연구를 수행해왔습니다. 인간기계시스템은 인간과 기계, 환경 간의 상호작용을 최적화하여 작업 효율성과 안전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를 위해 작업자의 신체적, 심리적 특성을 분석하고, 작업 환경 및 도구의 설계에 인간공학적 원리를 적용합니다.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산업 현장, 특히 제조업, 건설업, 농업, 어업 등에서 발생하는 근골격계질환(MSDs) 예방과 관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작업 자세, 반복 동작, 진동, 무거운 하중 등 다양한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평가 도구와 체크리스트를 개발해왔습니다. 또한, 실험실 연구자, 간호업무 종사자, 소방공무원 등 다양한 직업군을 대상으로 한 맞춤형 인간공학적 평가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산업 현장의 안전과 건강 증진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며, 작업자의 삶의 질 향상과 산업재해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인간공학적 설계와 평가 방법론의 고도화, 디지털 시뮬레이션 및 빅데이터 분석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인간기계시스템의 혁신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2

산업안전 및 작업환경 개선

연구실은 산업안전과 작업환경 개선을 위한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농업,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발생하는 산업재해와 근골격계질환의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표준시간 설정, 작업환경 평가, 대체인력 고용 특성 연구 등 실질적인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농업인 안전재해 보상을 위한 표준시간 설정 및 작업환경 관리방안 연구, 재해조사용 휴먼에러 평가 매뉴얼 개발 등은 대표적인 연구 성과입니다. 작업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현장 실태조사, 인터뷰, 실험적 데이터 수집 등 다양한 방법론을 활용합니다. 예를 들어, GPS와 작업일지(Time-diary)를 활용한 농작업 시간 측정, 자가 보고와 관찰값의 정확성 비교, 작업자 자가평가 체크리스트 개발 등은 현장 적용성이 매우 높습니다. 또한, 사무용 가구, 실험실, VDT 작업장 등 다양한 환경에서의 인간공학적 평가와 개선 방안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산업 현장의 안전문화 정착과 작업자의 건강 보호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산업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안전관리 방안과 인간공학적 개입 전략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산업재해 예방과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에 앞장설 것입니다.

3

작업 관련 근골격계질환 평가 및 예방

본 연구실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발생하는 작업 관련 근골격계질환(MSDs)의 평가와 예방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자동차 조립, 조선업, 실험실, 농업, 어업, 건설업 등 다양한 작업 환경에서 근골격계질환의 위험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와 평가 도구를 개발해왔습니다. 특히, 반복 작업, 부적절한 작업 자세, 진동 노출, 무거운 하중 등 근골격계질환의 주요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인간공학적 개입 방안을 제시합니다. 예를 들어, BARAW 기법 개발, 작업 자세와 작업 시간에 기반한 위험성 평가 방법 제안, 실험실 연구자와 간호업무 종사자 등 특수 직업군을 위한 맞춤형 평가 도구 개발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산업 현장에서 근골격계질환의 조기 발견과 예방, 작업 효율성 향상, 산업재해 감소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산업군과 직업군에 적용 가능한 평가 및 예방 시스템을 고도화하여, 작업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