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민우 연구실
약학과 하민우
하민우 연구실은 약학과를 기반으로 의약화학, 비대칭 합성, 천연물 유래 신약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연구 주제는 의약품의 효율적이고 선택적인 합성을 위한 새로운 합성법 개발과, 이를 실제 신약 개발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특히, 비대칭 합성 및 유기촉매 개발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연구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시놀나 알칼로이드 유도체 등 천연물 기반의 유기촉매를 활용하여 환경 친화적이고 지속 가능한 합성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촉매를 이용한 비대칭 합성은 고순도의 키랄 의약품 합성에 필수적이며, 실제로 다양한 의약품 및 신약 후보물질의 합성에 적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클릭 케미스트리 등 현대적 합성 기법을 도입하여 천연물의 구조를 변형하고, 새로운 생리활성 화합물을 설계하는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의약화학 분야에서는 항암제, 항바이러스제, 신경계 질환 치료제 등 다양한 치료 영역에서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PROTAC 기술을 활용한 표적 단백질 분해제, 히스톤 탈메틸화효소 KDM4A 분해제 등 혁신적인 의약화학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분자 내 SN2 유사 치환반응을 통한 새로운 고리 화합물 합성법 개발 등 제약화학적 응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연구기관 및 산업체와의 협력 연구를 통해 신약 후보물질의 전임상 및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정부 및 산업체 지원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제 산업 현장에 적용 가능한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학술서적 및 논문 출판, 국제 학술대회 발표 등 활발한 학술 활동을 통해 연구실의 연구 역량을 널리 알리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하민우 연구실은 의약화학 및 신약 개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글로벌 제약 산업 발전과 인류 건강 증진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Drug Repurposing
Pharmacophore Modeling
Antimicrobial Resistance
비대칭 합성 및 유기촉매 개발
하민우 연구실은 비대칭 합성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비대칭 합성은 거울상 이성질체 중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기술로, 의약품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키랄 유기촉매 및 금속 촉매를 활용하여 다양한 비대칭 합성 반응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고순도의 키랄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놀나 알칼로이드 유도체와 같은 천연물 기반의 유기촉매를 이용한 비대칭 반응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촉매는 환경 친화적이며, 금속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화하여 지속 가능한 합성 방법을 제시합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비대칭 알킬화, 마이클 첨가, 에폭시화 등 새로운 반응 경로를 개척하고, 이를 실제 의약품 합성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의약품의 효능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신약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합성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혁신적인 비대칭 합성 기술을 개발하여 글로벌 제약 산업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천연물 기반 신약 후보물질 개발 및 의약화학
연구실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스캐폴드 화합물을 기반으로 한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천연물은 구조적 다양성과 생물학적 활성이 뛰어나 신약 개발의 중요한 원천입니다. 연구실에서는 천연물의 구조를 변형하거나, 클릭 케미스트리 등 현대적 합성 기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설계하고, 이들의 생물학적 활성을 평가합니다.
특히, 항암제, 항바이러스제, 신경보호제 등 다양한 치료 영역에서 효과적인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PROTAC(Proteolysis Targeting Chimera) 기술을 활용한 표적 단백질 분해제 개발, 히스톤 탈메틸화효소 KDM4A 분해제 합성 등 혁신적인 의약화학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또한, 분자 내 SN2 유사 치환반응을 통한 새로운 고리 화합물 합성법 개발 등 제약화학적 응용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신약 개발에 기여합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국내외 협력 연구와 산학연 프로젝트를 통해 신약 후보물질의 전임상 및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Highly Enantioselective Synthesis of γ-Carboxy-β-amino Acids via Desymmetric Alcoholysis of 3-Aminoglutaric Anhydrides
하민우, 양세헌, 이재용, 김홍기, 이금우, Kondapalli Pavankumar, 김미현, 박형근
ORGANIC LETTERS, 202504
2
Cold-active enzymes from deep marine psychrophiles: harnessing their potential in enhanced food production and sustainability
하민우, Mrinmoy Ghosh, Yunji Heo, Krishna Kanth Pulicherla, 도경탁, 손영옥
Critical Reviews in Biotechnology, 202501
3
Dual inhibition of aminoacyl-tRNA synthetase interacting multifunctional protein-2 and a-synuclein by steroid derivative is neuroprotective in Parkinson`s model
하민우, Jeong-Yong Shin, Ji Hun Kim, Jiwon Cheon, Gum Hwa Lee, Seung-Mann Paek, Yunjong Lee
ISCIENCE, 202411
1
(청정바이오)[1-1] 제주 비임상연구센터 기반의 만성 염증 질환 치료 소재 개발
2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LINC 3.0) 육성사업_수요맞춤성장형
3
아열대생물자원을 활용한 바이오헬스/혁신신약 교육연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