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비대칭 합성 및 유기촉매 개발

하민우 연구실은 비대칭 합성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비대칭 합성은 거울상 이성질체 중 하나만을 선택적으로 합성하는 기술로, 의약품 개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키랄 유기촉매 및 금속 촉매를 활용하여 다양한 비대칭 합성 반응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고순도의 키랄 화합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시놀나 알칼로이드 유도체와 같은 천연물 기반의 유기촉매를 이용한 비대칭 반응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촉매는 환경 친화적이며, 금속을 사용하지 않거나 최소화하여 지속 가능한 합성 방법을 제시합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비대칭 알킬화, 마이클 첨가, 에폭시화 등 새로운 반응 경로를 개척하고, 이를 실제 의약품 합성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의약품의 효능과 안전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신약 개발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합성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앞으로도 연구실은 혁신적인 비대칭 합성 기술을 개발하여 글로벌 제약 산업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2

천연물 기반 신약 후보물질 개발 및 의약화학

연구실은 천연물에서 유래한 스캐폴드 화합물을 기반으로 한 신약 후보물질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천연물은 구조적 다양성과 생물학적 활성이 뛰어나 신약 개발의 중요한 원천입니다. 연구실에서는 천연물의 구조를 변형하거나, 클릭 케미스트리 등 현대적 합성 기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화합물을 설계하고, 이들의 생물학적 활성을 평가합니다. 특히, 항암제, 항바이러스제, 신경보호제 등 다양한 치료 영역에서 효과적인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PROTAC(Proteolysis Targeting Chimera) 기술을 활용한 표적 단백질 분해제 개발, 히스톤 탈메틸화효소 KDM4A 분해제 합성 등 혁신적인 의약화학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또한, 분자 내 SN2 유사 치환반응을 통한 새로운 고리 화합물 합성법 개발 등 제약화학적 응용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기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한 신약 개발에 기여합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국내외 협력 연구와 산학연 프로젝트를 통해 신약 후보물질의 전임상 및 임상 진입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