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성오 연구실
의예의학과 허성오
허성오 연구실은 신경계 발생과 신경세포 이주, 분화, 연결 형성 등 뇌 발달의 핵심 메커니즘을 분자·세포 수준에서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국내 대표적인 신경과학 연구실입니다. 연구실은 β-PIX, Rbms1, Mest, miRNA 등 신경세포 이동과 분화에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자 및 단백질의 기능을 규명하고, 이들이 신경계 발생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밝히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특히 in utero electroporation, 유전자 편집, 동물모델 등 첨단 실험기법을 활용하여 신경세포의 방사형 이동, 극성화, 신경돌기 성장 등 뇌 구조 형성의 세부 과정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신경계 질환의 분자적 원인 규명과 치료 타겟 발굴에도 큰 성과를 내고 있습니다. 난치성 뇌 발달 질환, 신경계 종양, 신경계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에서 mTORC1, HDAC, Akt/GSK-3β 등 주요 신호전달 경로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들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 후보물질 및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천연물 유래 화합물, miRNA, RNA 결합 단백질 등 다양한 분자적 도구를 활용한 신개념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신경세포의 생존, 사멸, 자가포식, 대사 재프로그래밍 등 세포 내 주요 생명현상을 조절하는 분자적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역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경모세포종, 다발성 골수종 등 난치성 종양에서 약물 내성 극복 및 병용요법 개발, 자폐스펙트럼장애 등 발달장애의 유전자 변이 기능 분석 등 다양한 연구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연구실은 라이소포스파티딜산(LPA) 및 그 수용체, mTORC1 신호전달, RNA 결합 단백질 등 신경계 발생과 질환에 중요한 신호전달체계의 역할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동물모델 제작, 특허 출원, 기술이전 등 산학협력 및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내외 학술대회 발표, 우수 논문상 및 특허기술상 수상 등 연구성과도 탁월합니다.
허성오 연구실은 신경계 발생과 질환의 분자·세포 기전을 밝히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 및 맞춤형 치료법 제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신경과학 및 의생명과학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성과를 창출하며, 뇌 발달 및 신경계 질환 극복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Neurodevelopmental Impairment
GPCR Pharmacology
Neuronal Migration
신경계 발생과 신경세포 이주 메커니즘
허성오 연구실은 신경계 발생과정에서 신경세포의 생성, 분화, 이동, 그리고 연결 형성에 이르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뇌 피질의 발생과정에서 신경세포가 어떻게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고, 층을 이루는지에 대한 분자적·세포적 신호전달 경로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동물모델과 유전자 조작 기법, in utero electroporation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신경세포의 이동 장애가 뇌 발달 질환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밝히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β-PIX, Rbms1, Mest 등 신경세포 이동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및 단백질의 기능을 규명하였으며, 이들이 신경세포의 극성화, 방사형 이동, 신경돌기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라이소포스파티딜산(LPA) 및 그 수용체, mTORC1 신호전달 경로 등 다양한 신호전달체계가 신경발생과정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선천성 뇌 발달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신경세포 이주 질환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의 원인 규명과 치료 타겟 발굴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미래에는 신경계 질환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신경계 질환의 분자·세포 치료 타겟 발굴 및 치료제 개발
연구실은 난치성 뇌 발달 질환, 신경계 종양, 신경계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의 분자적 원인 규명과 치료 타겟 발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경세포의 생존, 사멸, 자가포식(autophagy), 대사 재프로그래밍 등 세포 내 주요 생명현상을 조절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역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mTORC1 억제제, HDAC 억제제, 다양한 천연물 유래 화합물(예: oxyresveratrol, gambogic acid, Angelica polymorpha 추출물 등)의 항암 및 신경보호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들 물질이 신경계 종양(특히 신경모세포종) 및 신경계 퇴행성 질환에서 세포 사멸, 자가포식, 대사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수준에서 규명하였습니다. 또한, miRNA, RNA 결합 단백질 등 비정형 유전자 조절 인자를 활용한 신개념 치료법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계 질환의 새로운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실제 임상 적용이 가능한 신약 후보물질 및 치료법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동물모델을 이용한 전임상 연구와 특허 출원, 기술이전 등 산학협력 성과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국내외 신경과학 및 의생명과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
Icariin, a natural flavonoid glucoside, inhibits neuroinflammation in mice with triple-transgenic Alzheimer`s disease by regulating the Akt/GSK-3β signaling pathway
허성오
Journal of Functional Foods, 202407
2
Zoxystrobin impairs neuronal migration and induces ROS dependent apoptosis in cortical neurons
허성오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111
3
Targeting the Difficult-to-Drug CD71 and MYCN with Gambogic Acid and Vorinostat in a Class of Neuroblastomas.
허성오
Cellular Physiology and Biochemistry, 201907
1
난치성 뇌 발달 질환의 잠재적 유전자 타겟의 발굴 및 뇌 발달 유전자 발현 제어 기반 뇌 발달 장애의 분자·세포학적 치료기반 기술 개발
2
환경유해물질에 의한 포유동물의 뇌발달장애 유발 기전연구 및 치료원천기술개발
3
신개념 결절성경화증 (Tuberous Sclerosis Complex) 치료제 타겟 발굴을 위한 Rheb (Ras homologue enriced in brain) 유전자 제어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