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신경계 발생과 신경세포 이주 메커니즘
허성오 연구실은 신경계 발생과정에서 신경세포의 생성, 분화, 이동, 그리고 연결 형성에 이르는 복잡한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대뇌 피질의 발생과정에서 신경세포가 어떻게 적절한 위치로 이동하고, 층을 이루는지에 대한 분자적·세포적 신호전달 경로를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동물모델과 유전자 조작 기법, in utero electroporation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여 신경세포의 이동 장애가 뇌 발달 질환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밝히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β-PIX, Rbms1, Mest 등 신경세포 이동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및 단백질의 기능을 규명하였으며, 이들이 신경세포의 극성화, 방사형 이동, 신경돌기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세밀하게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라이소포스파티딜산(LPA) 및 그 수용체, mTORC1 신호전달 경로 등 다양한 신호전달체계가 신경발생과정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연구는 선천성 뇌 발달 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신경세포 이주 질환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의 원인 규명과 치료 타겟 발굴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미래에는 신경계 질환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법 개발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2
신경계 질환의 분자·세포 치료 타겟 발굴 및 치료제 개발
연구실은 난치성 뇌 발달 질환, 신경계 종양, 신경계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의 분자적 원인 규명과 치료 타겟 발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신경세포의 생존, 사멸, 자가포식(autophagy), 대사 재프로그래밍 등 세포 내 주요 생명현상을 조절하는 신호전달 경로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질환의 진행을 억제하거나 역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mTORC1 억제제, HDAC 억제제, 다양한 천연물 유래 화합물(예: oxyresveratrol, gambogic acid, Angelica polymorpha 추출물 등)의 항암 및 신경보호 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이들 물질이 신경계 종양(특히 신경모세포종) 및 신경계 퇴행성 질환에서 세포 사멸, 자가포식, 대사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수준에서 규명하였습니다. 또한, miRNA, RNA 결합 단백질 등 비정형 유전자 조절 인자를 활용한 신개념 치료법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신경계 질환의 새로운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실제 임상 적용이 가능한 신약 후보물질 및 치료법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동물모델을 이용한 전임상 연구와 특허 출원, 기술이전 등 산학협력 성과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국내외 신경과학 및 의생명과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