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방제학을 통한 간질환 예방 및 치료 연구

제갈경환 연구실은 방제학을 기반으로 한 한약 처방의 간질환 예방 및 치료 효과에 대한 심층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한약재 및 복합 처방의 간세포 보호 효과, 항산화 작용, 그리고 간 손상 회복 기전에 대한 실험적·임상적 접근을 통해 한의학적 치료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특히, 발효 오미자박, 헛개과병, 부평초 등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온 약재의 추출물 및 혼합물의 효능을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검증하며, 간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저해, 미토콘드리아 보호, 염증 억제 등의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현대 사회에서 증가하는 비알코올성 지방간, 급성 및 만성 간손상, 간섬유화 등 다양한 간질환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분리·동정하고, 그 작용 메커니즘을 분자생물학적 방법으로 분석함으로써, 한의학적 처방의 현대적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특허 등록을 통해 부평초 추출물의 간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의 실용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임상 연구와 더불어,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 한의통합치료의 안전성 및 효과 분석 등 실제 진료 현장에 적용 가능한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의학적 방제학의 과학화와 표준화, 그리고 한의약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2

한약 처방의 항산화 및 항암 효능과 분자기전 연구

연구실은 한약 처방 및 약재의 항산화, 항암 효능과 그 분자적 기전에 대한 연구도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한약재 및 복합 처방이 산화적 스트레스, 염증, 세포사멸, 자가포식 등 세포 내 주요 신호전달 경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한의학적 치료의 과학적 근거를 확립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Eupatilin, Socheongryong-Tang, Pelargonium sidoides와 같은 약재 및 처방의 항산화·항염증 효과, 그리고 sestrin-2, AMPK, Nrf2 등 주요 분자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와 연관된 세포 보호 및 항암 효과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간세포 및 유방암 세포 등 다양한 세포주를 활용하여, 한약재가 세포 내 산화적 스트레스와 염증 반응을 어떻게 조절하는지, 그리고 세포사멸 및 자가포식 유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실험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물 모델을 이용한 간손상, 간섬유화, 지방간 등 질환 모델에서 한약 처방의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의학적 치료의 새로운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며, 한약재의 신약 개발 및 기능성 식품 소재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국제학술지 논문 발표, 특허 출원, 국내외 학회 발표 등을 통해 연구 성과를 적극적으로 공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의학 방제학의 과학적 신뢰성을 높이고, 한약 처방의 항산화 및 항암 효능에 대한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 구축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