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훈 연구실
의과대학 이동훈
이동훈 연구실은 피부과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로, 피부 노화와 만성 피부질환의 분자적, 후성유전학적 기전 규명 및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인 자외선 노출, 내인성 노화, 환경적 요인 등이 피부 세포와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자 수준에서 분석하며, 특히 DNA 메틸화, 히스톤 변형 등 후성유전학적 조절 기전을 집중적으로 연구합니다.
피부 노화 연구에서는 콜라겐 및 엘라스틴 등 기질 단백질의 변화, MMP-1 등 기질분해효소의 발현 조절, 신경펩티드 및 이온통로의 역할, 피부-뇌 축(skin-brain axis) 등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를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이를 통해 피부 노화의 새로운 바이오마커와 치료 타겟을 발굴하고, 차세대 화장품 및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수의 특허와 정부 과제를 수행하며, 피부 노화 진단 및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아토피피부염 및 만성 피부질환 연구에서는 질환의 다양한 임상적 페노타입과 엔도타입을 분류하고, 면역학적 기전, 피부 장벽 기능 이상,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조절, 신경-면역 상호작용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TRPV1, TRPV3 등 이온통로의 역할, 후성유전학적 조절, 피부 미생물총 변화 등 최신 연구 트렌드를 반영한 다학제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으며, 생물학적 제제의 임상 효과와 안전성,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논문과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AI 기반 피부질환 진단 데이터 구축, 디지털 이미지 분석법을 이용한 피부 변형의 정량적 분석 등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와의 융합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와 예방, 삶의 질 향상, 사회적 부담 경감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또한, 국내외 다양한 학회 및 연구 네트워크와의 협력을 통해 연구 성과를 확산하고, 차세대 피부과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동훈 연구실은 이러한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피부 노화와 만성 피부질환의 근본적 이해와 혁신적 치료법 개발에 기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피부과학 분야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할 계획입니다.
피부 노화의 분자 및 후성유전학적 기전 연구
이동훈 연구실은 피부 노화의 분자적, 후성유전학적 기전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피부 노화는 내인성 노화와 광노화로 나뉘며, 각각의 기전에는 콜라겐 감소, 엘라스틴 변형, 기질 단백질의 변화 등이 관여합니다. 연구실은 특히 자외선(UV) 노출이 피부 세포 내 DNA 손상, 히스톤 변형, DNA 메틸화 등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유도하여 피부 노화와 주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은 DNA methyltransferase 1(DNMT1), histone deacetylase 4(HDAC4) 등 후성유전학적 조절 인자들이 피부 노화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다양한 세포 및 동물 모델, 그리고 임상 샘플을 통해 분석합니다. 또한, 콜라겐 합성 조절, MMP-1 등 기질분해효소의 발현 조절, 신경펩티드 및 이온통로의 변화 등 피부 노화와 관련된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를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최근에는 피부-뇌 축(skin-brain axis)과 같은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피부 노화가 신경계 및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실은 피부 노화 억제 및 개선을 위한 새로운 치료 타겟과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차세대 화장품 및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수의 특허와 정부 과제를 수행하며, 피부 노화 진단 및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아토피피부염 및 만성 피부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 연구
이동훈 연구실은 아토피피부염을 비롯한 만성 피부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법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아토피피부염은 다양한 유전적, 면역학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연구실은 임상 연구와 기초 연구를 병행하여 질환의 다양한 페노타입과 엔도타입을 분류하고,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토피피부염의 면역학적 기전, 피부 장벽 기능 이상,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조절, 신경-면역 상호작용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TRPV1, TRPV3 등 이온통로의 역할, 후성유전학적 조절, 피부 미생물총 변화 등 최신 연구 트렌드를 반영한 다학제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듀필루맙 등 생물학적 제제의 장기적 효과와 안전성,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논문과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삶의 질, 치료 만족도, 치료 순응도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 AI 기반 피부질환 진단 데이터 구축 등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와의 융합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와 예방, 그리고 사회적 부담 경감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1
Practical Training Approaches for Discordant Atopic Dermatitis Severity Datasets: Merging Methods with Soft-label and Train-set Pruning
이동훈, 정진호, Cho, S. I., Lee, D., Han, B., Lee, J. S., Hong, J. Y., Na, J. I.
IEEE JOURNAL OF BIOMEDICAL AND HEALTH INFORMATICS, 202302
2
Topical Skullcapflavone II attenuates atopic dermatitis in a mouse model by directly inhibiting associated cytokines in different cell types
이동훈, Lee Youngae, Oh Jang-Hee, Li Na, Jang Hyun-Jae, Ahn Kyung-Seop, Oh Sei-Ryang, 정진호
Frontiers in Immunology, 202212
3
Chronic skin ultraviolet irradiation induces transcriptomic changes associated with microglial dysfunction in the hippocampus
Yoon Kyeong-No, Kim Yujin, 이동훈, 이용석, An Joon-Yong, Cui Yidan, Ji Jungeun, Park Gunhyuk, 정진호
MOLECULAR BRAIN, 202212
1
다층 면역질환 단일세포지도 구축을 통한 질병 치료 분자 타겟 발굴 메타플랫폼 확립
2
DNA methyltransferase 1 (DNMT1)과 Histone deacetylase 4 (HDAC4)의 에피제네틱 조절을 통한 피부 노화 기전 규명과 제어 방법 연구
3
연건캠퍼스 내 시설 신축 및 개축 등에 대한 신사업 기획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