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피부 노화의 분자 및 후성유전학적 기전 연구

이동훈 연구실은 피부 노화의 분자적, 후성유전학적 기전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피부 노화는 내인성 노화와 광노화로 나뉘며, 각각의 기전에는 콜라겐 감소, 엘라스틴 변형, 기질 단백질의 변화 등이 관여합니다. 연구실은 특히 자외선(UV) 노출이 피부 세포 내 DNA 손상, 히스톤 변형, DNA 메틸화 등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유도하여 피부 노화와 주름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은 DNA methyltransferase 1(DNMT1), histone deacetylase 4(HDAC4) 등 후성유전학적 조절 인자들이 피부 노화에 어떻게 관여하는지 다양한 세포 및 동물 모델, 그리고 임상 샘플을 통해 분석합니다. 또한, 콜라겐 합성 조절, MMP-1 등 기질분해효소의 발현 조절, 신경펩티드 및 이온통로의 변화 등 피부 노화와 관련된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를 다각적으로 탐구합니다. 최근에는 피부-뇌 축(skin-brain axis)과 같은 새로운 개념을 도입하여, 피부 노화가 신경계 및 전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실은 피부 노화 억제 및 개선을 위한 새로운 치료 타겟과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를 활용한 차세대 화장품 및 치료제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다수의 특허와 정부 과제를 수행하며, 피부 노화 진단 및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2

아토피피부염 및 만성 피부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 연구

이동훈 연구실은 아토피피부염을 비롯한 만성 피부질환의 병태생리와 치료법 개발에도 집중하고 있습니다. 아토피피부염은 다양한 유전적, 면역학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연구실은 임상 연구와 기초 연구를 병행하여 질환의 다양한 페노타입과 엔도타입을 분류하고, 맞춤형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아토피피부염의 면역학적 기전, 피부 장벽 기능 이상, 염증성 사이토카인 및 케모카인 조절, 신경-면역 상호작용 등을 심층적으로 분석합니다. 최근에는 TRPV1, TRPV3 등 이온통로의 역할, 후성유전학적 조절, 피부 미생물총 변화 등 최신 연구 트렌드를 반영한 다학제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듀필루맙 등 생물학적 제제의 장기적 효과와 안전성, 실제 임상 현장에서의 치료 경험을 바탕으로 한 다양한 논문과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아토피피부염 환자의 삶의 질, 치료 만족도, 치료 순응도 향상을 위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개발, AI 기반 피부질환 진단 데이터 구축 등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와의 융합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와 예방, 그리고 사회적 부담 경감에 기여하고자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