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음운론의 계량적 방법론

음운론의 계량적 방법론은 전통적인 음운론적 분석에 통계적, 정보이론적 접근을 결합하여 언어의 소리 체계와 그 변이 현상을 정량적으로 탐구하는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다양한 언어의 음운 현상, 특히 한국어와 영어를 중심으로, 음운 규칙의 적용 빈도, 음운적 복잡성, 그리고 음운 규칙의 변이와 예외를 계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말뭉치 기반의 데이터 수집과 통계적 모델링, 그리고 정보이론적 지표(예: 엔트로피, 상호정보량 등)를 적극적으로 활용합니다. 이러한 계량적 방법론은 음운 현상의 미세한 변이와 패턴을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하며, 기존의 질적 분석에서 놓칠 수 있는 언어 내외적 요인(예: 어휘 빈도, 음소 조합의 확률 등)을 체계적으로 반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어의 음운 대조 중화 현상이나 영어의 강세충돌 환경에서의 모음 약화, 미국 영어의 /t/-flapping 등 다양한 음운 현상에 대해 혼합효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베타 회귀분석 등 첨단 통계 기법을 적용하여 그 발생 조건과 영향을 규명합니다. 이 연구는 음운론의 이론적 발전뿐만 아니라, 언어 교육, 음성 인식, 자연어 처리 등 실용적 분야에도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계량적 방법론을 통해 얻어진 정밀한 음운 규칙과 패턴은 언어 모델의 성능 향상, 언어 습득 이론의 검증, 그리고 언어 변화의 예측 등 다양한 응용 가능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2

음운 규칙과 변이: 최적성이론과 정보이론의 융합

본 연구실은 음운 규칙의 변이와 예외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최적성이론(Optimality Theory, OT)과 정보이론적 접근을 융합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적성이론은 언어의 음운 현상이 다양한 제약(constraints)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언어 내 변이와 예외를 설명하는 강력한 이론적 틀을 제공합니다. 연구실에서는 특히 Noisy Harmonic Grammar와 같은 확률적 OT 모델을 도입하여, 실제 언어 자료에서 관찰되는 변이의 빈도와 패턴을 정량적으로 예측하고 분석합니다. 이러한 접근은 한국어와 영어, 러시아어 등 다양한 언어의 음운 현상에 적용되어, 예를 들어 한국어의 모음조화, 영어의 schwa 탈락, 러시아어 모음의 음소적 지위 등 복잡한 음운 현상의 본질을 밝히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정보이론적 지표를 활용하여 음운 규칙의 적용 가능성, 음운적 복잡성, 그리고 언어 변화의 동인을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질적 분석을 넘어선 새로운 통찰을 제공합니다. 이 연구는 언어의 내재적 규칙성과 변이의 원인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언어학 이론의 발전뿐 아니라, 언어 처리 기술, 음성 합성, 언어 습득 모델링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인 응용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또한, 언어의 변화와 진화, 언어 간 비교 연구 등에도 폭넓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