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서린 연구실
치과대학(임상치의학교실) 정서린
정서린 연구실은 치의학과를 기반으로 부정교합 치료 및 첨단 교정치료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임상 경험과 최신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환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정교합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해 3차원 영상진단, 맞춤형 교정장치, 미니-임플란트 등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교정치료의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정용 장치와 자기공명영상(MRI) 촬영의 상호작용 평가, 교정치료 후 턱뼈 및 치조골의 변화 분석, 그리고 교정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통증 및 합병증 관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의 치료 만족도와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과 데이터 과학을 접목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AI 기반 교정치료 계획 수립 모델 개발, 두부 방사선 계측치의 네트워크 분석, 군집 분석을 통한 부정교합 분류 등 데이터 기반의 진단 및 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는 교정치료의 객관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미래 치의학의 발전 방향을 제시합니다.
정서린 연구실은 국내외 다양한 학술대회와 협력 연구를 통해 최신 지견을 공유하고,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실질적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임상 증례와 연구 결과는 국내외 저명 학술지에 꾸준히 발표되고 있으며, 교정치료 분야의 학문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 첨단 기술의 임상 적용, 그리고 데이터 기반의 진단 및 치료 전략 개발을 통해 치의학 및 교정치료 분야의 혁신을 선도할 것입니다.
Temporomandibular Joint Osteoarthritis
Orthodontic Elastomeric Chains
Cephalometric Analysis
부정교합 치료 및 교정치료 기술 개발
정서린 연구실은 부정교합 치료학을 중심으로 다양한 교정치료 기술의 개발과 임상 적용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부정교합은 치아의 배열이나 턱뼈의 위치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로, 환자의 심미적 만족도와 구강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부정교합 유형에 대한 진단, 치료 계획 수립, 그리고 맞춤형 교정장치의 개발을 통해 환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치료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3차원 수술 시뮬레이션과 맞춤형 브라켓, 미니-임플란트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 치료법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들은 치료의 정확성과 예측성을 높이고,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적 교정과 비수술적 교정의 경계를 넘나드는 융합적 접근을 통해 다양한 임상 사례에 적용 가능한 치료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교정치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예방과 치료 후 안정성 확보를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교정치료의 장기적 효과와 재발 방지, 그리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영상진단 및 인공지능 기반 교정치료 계획
본 연구실은 첨단 영상진단 기술과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교정치료 계획 수립에도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기공명영상(MRI), 콘빔 컴퓨터단층촬영(CBCT) 등 다양한 영상진단 기법을 통해 치아 및 턱뼈의 구조적 특성을 정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 계획을 수립합니다. 영상 데이터를 활용한 정량적 분석은 치료의 정확성을 높이고, 예기치 못한 합병증을 사전에 예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하여 교정치료 계획의 자동화와 최적화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 기반의 교정치료 계획 수립 모델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방대한 임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환자별 최적의 치료 경로를 제안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교정치료의 효율성과 객관성을 높이며, 임상의의 진단 및 치료 결정에 과학적 근거를 제공합니다.
또한, 네트워크 분석, 군집 분석 등 데이터 과학적 방법론을 도입하여 정상 교합 환자와 부정교합 환자의 두부 방사선 계측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새로운 진단 기준 및 분류 체계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는 미래 교정치료의 패러다임을 변화시키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1
Purely bone-borne rapid palatal expansion with bracket plates and replaceable expansion screw assembly
정서린
SEMINARS IN ORTHODONTICS, 202505
2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Orthodontic Treatment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with Meta-Analysis
정서린
APPLIED SCIENCES-BASEL, 202412
3
Cytotoxicity of two fluoride-releasing adhesive tapes
정서린
JOURNAL OF CLINICAL PEDIATRIC DENTISTRY, 202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