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김은영 교수

Regulatory Science

Clinical Pharmacokinetics

Pharmacovigilance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약학대학 김은영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연구실은 근거기반 의약정보학, 임상약동학, 임상시험 디자인,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등 다양한 약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임상데이터 분석, 빅데이터(RWD, RWE) 활용,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임상연구 디자인 설계 등 다양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의약품의 효과와 안전성, 임상적 의사결정의 근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임상약동학 및 약물감시(Pharmacovigilance) 분야에서는 NONMEM 등 첨단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집단약동학 모델링, 치료약물농도모니터링(TDM) 기반 시뮬레이션 연구, 자발적 이상반응 보고 및 EMR 데이터 분석을 통한 약물이상반응 시그널 탐색, 장기 안전성 평가 등 환자 맞춤형 약물치료와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등 첨단 데이터사이언스 기법을 접목하여 약물감시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첨단바이오의약품 및 신약개발 분야에서는 히스톤 조절 단백질 기반 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 Epigenome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단백질 구조 기반 신약 타겟 발굴, AI 기반 임상연구 프로토콜 개발 등 혁신적인 융합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국내외 규제정책, GMP 시설기준, 신기술 동향 평가 등 제약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임상시험 설계 및 프로토콜 작성, 임상연구윤리 및 방법론 연구, 디지털 치료제 임상시험 디자인,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 테크놀로지 연구 등 미래 지향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현장, 제약산업, 보건의료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산학연 협력 및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외 약학 연구의 혁신과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학제 간 융합 연구, 산학연 협력,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미래 약학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실무실습, 임상연구, 신약개발, 정책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과 연구자들이 전문성과 창의성을 갖추고, 국민건강 증진과 제약바이오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육과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Regulatory Science
Clinical Pharmacokinetics
Pharmacovigilance
근거기반 의약정보학 및 임상연구 디자인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연구실은 근거기반 의약정보학(Evidence-Based Pharmacy)과 임상연구 디자인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무작위 대조연구(RCT), 코호트 연구, 환자대조군 연구 등 다양한 임상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의약품의 효과와 안전성을 체계적으로 평가합니다. 특히,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Systematic Review & Meta-Analysis)을 통해 신뢰성 높은 근거를 도출하고, 임상적 의사결정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연구를 수행합니다. 임상데이터 분석, 빅데이터(RWD, RWE) 활용, 생존분석, 회귀분석 등 첨단 통계기법을 적용하여 임상 주요 outcome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합니다. 또한, 임상시험 설계 및 프로토콜 작성, 임상연구 기획, 의사결정 프로세스 개발 등 임상연구의 전 과정에서 투명성과 윤리성을 확보하기 위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규제정책, 신약개발, 의약품 인허가 등 보건의료 정책에도 직접적으로 반영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 및 머신러닝,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접목한 임상연구 디자인, 디지털 치료제(DTx) 임상시험 설계, AI 기반 임상연구 프로토콜 개발 등 혁신적인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임상연구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고, 환자 맞춤형 약물치료 및 의약품 사용의 최적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임상약동학 및 약물감시(Pharmacovigilance) 연구
본 연구실은 임상약동학(Clinical Pharmacokinetics) 및 약물감시(Pharmacovigilance)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임상데이터를 활용한 약동학적 파라미터 분석, NONMEM 등 첨단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집단약동학 모델링, 임상 TDM(치료약물농도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연구 등을 통해 환자 개개인에 최적화된 용량설정 및 약물치료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약물감시 분야에서는 자발적 이상반응 보고 시스템(KEARS, FARES) 및 병원 내 EMR 데이터를 활용하여 약물이상반응 시그널 탐색, 장기 안전성 평가, 첨단바이오의약품(유전자치료제, CAR-Tcell 등) 안전성 연구, 약물감시 시스템 개발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 빅데이터(심평원, 국민건강보험공단 등)를 활용한 의약품 사용패턴 분석, 희귀질환 관련 연구, 부작용 시그널 검색 등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안전성 확보와 약물 부작용 예방, 신약 및 제네릭의약품 인허가, 의약품 광고 및 규제정책 수립 등 실질적인 보건의료 현장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머신러닝 등 첨단 데이터사이언스 기법을 접목하여 약물감시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미래 지향적 약물감시 체계 구축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첨단바이오의약품 및 신약개발 연구
연구실은 첨단바이오의약품,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등 혁신적인 신약개발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히스톤 조절 단백질 기반 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 Epigenome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단백질 구조 기반 신약 타겟 발굴 및 효능 최적화 등 첨단 융합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유전체/단백질 메타분석, AI 기반 타겟 발굴, 약동학 모델링, 대사체 분석 등 다양한 오믹스 및 정보학적 접근법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규제정책 및 인허가 가이드라인 분석, GMP 시설기준 마련, 신기술 동향 평가 등 제약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메타리셉톰 제어 연구, 암 전이 기전 규명, 항암제 민감도 향상 전략 등 암 및 난치성 질환 치료제 개발을 위한 다학제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시험 설계 및 실행,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과 평가, 바이오마커 기반 맞춤의료 실현 등 실질적인 신약개발 프로세스에 직접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산학연 협력 및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 제약바이오산업의 혁신과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1
Evaluation of bone health and fracture risk in type 2 diabetes: a network meta-analysis of anti-diabetic treatments versus placebo
오수아, 박세은, 김은영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202506
2
Innovative Technological Emerging Platform: Exploring PROTAC Research and Regulatory Trends
10141426
약학회지, 202501
3
Exploring Future Pandemic Preparednes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reventive Vaccine Platforms and the Key Rol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in a Global Health Crisis
김은영, 전지희
VACCINES, 202412
1
메타리셉톰 제어 연구센터 선도연구센터 사업
중앙대학교
2015년 ~ 2025년 02월
2
생명의약연구사업 연구과제 선정 및 지원 2단계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개발)
2008년 ~ 1970년
3
생명의약연구사업 연구과제 선정 및 지원 3단계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개발)
2009년 ~ 1970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