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정보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김은영 교수

중앙대학교 약학대학 연구실은 근거기반 의약정보학, 임상약동학, 임상시험 디자인, 첨단바이오의약품 개발 등 다양한 약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임상데이터 분석, 빅데이터(RWD, RWE) 활용,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임상연구 디자인 설계 등 다양한 방법론을 바탕으로 의약품의 효과와 안전성, 임상적 의사결정의 근거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임상약동학 및 약물감시(Pharmacovigilance) 분야에서는 NONMEM 등 첨단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집단약동학 모델링, 치료약물농도모니터링(TDM) 기반 시뮬레이션 연구, 자발적 이상반응 보고 및 EMR 데이터 분석을 통한 약물이상반응 시그널 탐색, 장기 안전성 평가 등 환자 맞춤형 약물치료와 안전성 확보를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국가 빅데이터와 머신러닝 등 첨단 데이터사이언스 기법을 접목하여 약물감시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첨단바이오의약품 및 신약개발 분야에서는 히스톤 조절 단백질 기반 난치성질환 치료제 개발, Epigenome 기반 바이오마커 발굴, 단백질 구조 기반 신약 타겟 발굴, AI 기반 임상연구 프로토콜 개발 등 혁신적인 융합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국내외 규제정책, GMP 시설기준, 신기술 동향 평가 등 제약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 연구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임상시험 설계 및 프로토콜 작성, 임상연구윤리 및 방법론 연구, 디지털 치료제 임상시험 디자인, 사물인터넷(IoT) 기반 헬스 테크놀로지 연구 등 미래 지향적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임상현장, 제약산업, 보건의료 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으며, 산학연 협력 및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국내외 약학 연구의 혁신과 발전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학제 간 융합 연구, 산학연 협력, 글로벌 연구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미래 약학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실무실습, 임상연구, 신약개발, 정책연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생과 연구자들이 전문성과 창의성을 갖추고, 국민건강 증진과 제약바이오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교육과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