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조용원 연구실

계명대학교 신경과학교실

조용원 교수

조용원 연구실

신경과학교실 조용원

조용원 연구실은 신경과학 및 수면의학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입니다. 연구실은 하지불안증후군, 불면증, 수면무호흡증 등 다양한 수면장애의 신경생물학적 기전과 임상적 특성,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기능적 뇌 영상, 정량적 감각검사, 뇌자화율 MR 영상 등 첨단 신경과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질환의 병리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 모델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뇌전증(간질) 및 신경면역질환의 임상 및 영상 연구에도 활발히 참여하고 있습니다. 난치성 뇌전증 환자와 신경면역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데이터와 뇌영상 자료를 통합 분석하여, 질환의 발병 기전, 예후 인자, 치료 반응성 등을 다각도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다기관 레지스트리 구축, 혁신 치료전략 개발 등 대형 국가연구과제도 주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수면의 질, 불면증, 과다졸음, 렘수면행동장애 등 다양한 수면장애 평가도구의 한국어 표준화 및 타당도 검증 연구를 통해, 국내 임상현장과 연구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신뢰성 높은 평가체계를 구축하였습니다. 이러한 평가도구는 환자 진단, 치료 효과 평가, 대규모 역학조사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조용원 교수는 대한수면연구학회, 대한임상뇌전증연구학회 등 주요 학회에서 회장 및 임원으로 활동하며, 국내 신경과학 및 수면의학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있습니다. 다수의 국내외 논문, 학술서적, 특허, 학술상 수상 등으로 연구실의 우수성이 입증되고 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 및 평가도구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처럼 조용원 연구실은 신경과학, 수면의학, 임상신경과 분야의 융합연구를 통해 환자 맞춤형 진단과 치료,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혁신적인 연구와 임상적 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 신경과학 및 수면의학 분야를 선도하는 연구실로 성장할 것입니다.

하지불안증후군 및 수면장애의 신경생물학적 연구
조용원 연구실은 하지불안증후군(Restless Legs Syndrome, RLS) 및 다양한 수면장애의 신경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기능적 뇌 영상(fMRI, DTI 등)과 정량적 감각검사, 뇌자화율 MR 영상 등 첨단 신경과학적 도구를 활용하여 하지불안증후군 환자들의 뇌 구조 및 기능적 연결성 변화를 분석합니다. 이를 통해 하지불안증후군의 병리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질환의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구실은 철 결핍성 빈혈과 하지불안증후군의 연관성, 뇌 내 철 대사 이상, 도파민 신경전달체계의 변화 등 다양한 생물학적 요인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임상시험을 통해 철분제제, 도파민 작용제, 전기자극 등 다양한 치료법의 효과와 안전성을 검증하며, 환자 맞춤형 치료전략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I 기반 디지털 의료기기와 연계한 수면장애 진단 및 관리 시스템 개발에도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수면의학 및 신경과학 분야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하지불안증후군의 조기 진단 바이오마커 발굴, 치료반응 예측모델 구축, 환자 삶의 질 개선 등 실질적인 임상적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뇌전증 및 신경면역질환의 임상 및 영상 연구
연구실은 뇌전증(간질) 및 신경면역질환의 임상적 특성, 예후 예측, 치료 최적화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난치성 뇌전증 환자와 신경면역질환(예: 자가면역성 뇌염, 신경계 감염 등)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 데이터와 뇌영상 자료를 통합 분석하여, 질환의 발병 기전과 예후 인자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기관 레지스트리 구축을 통한 신생 난치성 뇌전증(NORSE/FIRES) 환자의 임상분석 및 혁신 치료전략 개발 프로젝트도 주도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장기 뇌파 모니터링, 비침습적 비디오-뇌파 검사, MRI 기반 뇌 구조 분석 등 다양한 신경과학적 평가법을 활용하여, 뇌전증 환자의 발작 예측, 약물 반응성 평가, 수술 적응증 결정 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항경련제의 효과와 부작용, 약물 내성의 유전적 요인, 환자 삶의 질 및 사회적 적응력 등 폭넓은 임상적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뇌전증 환자의 맞춤형 치료와 예후 향상, 신경면역질환의 조기 진단 및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외 학술지 및 학회에서 다수의 논문과 발표로 인정받고 있으며, 실제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가이드라인 및 평가도구 개발에도 앞장서고 있습니다.
수면의 질, 정신건강 및 삶의 질 평가도구 개발과 표준화
조용원 연구실은 수면의 질, 불면증, 과다졸음, 렘수면행동장애 등 다양한 수면장애와 관련된 평가도구의 한국어 표준화 및 타당도 검증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한국판 불면증 심각도 평가척도, 엡워스 졸음 척도, 피츠버그 수면의 질 평가척도, 렘수면행동장애 선별 설문지 등 다수의 평가도구를 국내 실정에 맞게 번역·표준화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과학적으로 입증하였습니다. 이러한 평가도구는 임상 현장에서 환자의 수면장애 진단, 치료 효과 평가, 대규모 역학조사 및 연구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설문지 개발뿐 아니라, 실제 임상적 활용성과 환자 중심의 평가체계 확립에도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또한, 수면장애와 우울, 불안, 삶의 질 등 정신건강 지표와의 연관성 연구도 병행하여, 통합적 환자 관리 모델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국내 수면의학 및 신경과학 분야의 임상연구 인프라를 크게 확장시키고, 환자 맞춤형 진단 및 치료의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Structural brain network metrics as novel predictors of treatment response in restless legs syndrome
조용원
SLEEP MEDICINE, 202505
2
Alterations in functional brain connectivity following treatment for restless legs syndrome: The role of symptom improvement in restoring functional connectivity
조용원
JOURNAL OF SLEEP RESEARCH, 202502
3
Prognosis prediction and immunotherapy optimisation for cryptogenic new-onset refractory status epilepticus
조용원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AND PSYCHIATRY, 202412
1
기능적 뇌 영상과 정량적 감각검사를 이용한 하지불안증후군의 병리 메커니즘 규명 및 치료반응 예측 모델 발굴
한국연구재단
2017년 06월 ~ 2020년 05월
2
베이비 붐 세대 타켓형 시니어산업 육성 기반 구축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2012년 06월 ~ 2013년 05월
3
뇌자화율 MR 영상을 이용한 하지불안증후군의 병태생리학적 기전 규명 및 조기진단 바이오마커 연구
한국연구재단
2011년 05월 ~ 2014년 04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