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안병우 연구실

충북대학교 수의과

안병우 교수

Foot-and-Mouth Disease

Chemoprevention

Toxicology

안병우 연구실

수의과 안병우

안병우 연구실은 수의병리학을 중심으로 동물 질병의 진단, 병리적 특성 분석, 그리고 질병 예방 및 치료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는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동물 종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병리학적 변화와 진단 기법을 심도 있게 연구하며, 실험동물 및 임상동물에서의 조직학적, 면역조직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진단법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동물 질병의 원인 규명과 조기 진단, 예후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환경 독성물질 및 신약의 동물 안전성 평가, 독성병리학적 진단 기준 확립, 독성시험 자료의 검증 등 독성병리학 분야에서도 활발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환경 독성물질, 내분비계 장애물질, 신약 후보물질 등이 동물의 장기 및 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동물모델을 활용한 독성평가 시스템을 구축하여 신뢰성 높은 안전성 평가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복지와 환경보건, 인체 건강 보호를 위한 정책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암 및 만성질환 예방 연구 역시 본 연구실의 주요 연구 분야 중 하나입니다. 다양한 동물모델을 활용하여 대장암, 간암, 위암 등 주요 암종의 발생 기전과 예방,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있으며, 천연물 유래 화합물 및 식이성분의 항암 효과와 기전을 규명하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유전자 변형 동물모델을 이용한 분자병리학적 연구를 통해 암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본 연구실은 인수공통감염병, 동물실험 가이드라인, 백신 부작용 진단, 동물복지 향상 등 다양한 수의학적 현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동물의 사후 변화와 환경요인(예: 습도)이 사후간격 추정에 미치는 영향, 구제역 등 주요 가축전염병의 예방 및 관리, 백신 부작용 진단 등 실질적인 현장 문제 해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안병우 연구실은 수의병리학, 독성병리학, 암 및 만성질환 예방, 환경독성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연구성과를 창출하고 있으며, 동물과 인체 건강 증진, 환경보건, 신약 및 치료제 개발 등 미래 수의학 및 생명과학 발전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Foot-and-Mouth Disease
Chemoprevention
Toxicology
수의병리학 및 동물 질병 진단
수의병리학은 동물의 질병 원인과 병리적 변화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본 연구실은 다양한 동물 종에서 발생하는 질병의 진단과 병리적 분석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발표된 논문에서는 설치류, 반려동물, 야생동물 등 다양한 동물에서 발생하는 신장, 간, 심장, 종양 등 주요 장기의 병리적 변화와 질병 발생 기전을 심도 있게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신장종양, 심부전, 폐섬유증, 종양성 질환 등 다양한 임상 사례를 병리학적으로 분석하여 진단 정확도를 높이고, 새로운 진단기법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실험동물 및 임상동물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의 조직학적, 면역조직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진단법을 개발하고 적용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 규명과 병리적 특성 파악에 힘쓰고 있으며, 동물 질병의 조기 진단 및 예후 예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의병리학적 진단 기준을 표준화하고, 국내외 동물 질병 데이터베이스 구축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의 건강 증진뿐만 아니라, 인수공통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 나아가 인체 건강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수의병리학 연구는 동물의 질병 이해와 진단,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미래 수의학 및 생명과학 분야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독성병리학 및 환경독성 연구
본 연구실은 다양한 환경 독성물질 및 약물의 동물에 미치는 영향과 그 병리적 기전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최근 연구에서는 산업화와 환경오염으로 인해 동물과 인간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독성물질(예: PFOS, PFOA, 멜라민, 시클로포스파미드 등)의 만성 노출이 생체 내 장기 및 조직에 미치는 병리적 변화와 독성 기전을 분석하였습니다. 실험동물 모델을 활용하여 독성물질의 급성 및 만성 독성, 내분비계 교란, 생식독성, 발암성 등을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 연구실은 독성병리학적 진단 기준의 확립과 독성시험 자료의 검증, 동물모델을 이용한 신약 및 환경유해물질의 안전성 평가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독성시험 및 병리자료의 peer review, 동물모델 시스템 구축, 독성병리자료의 표준화 및 데이터베이스화 등 실질적인 독성평가 시스템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동물복지와 환경보건, 인체 건강 보호를 위한 정책 수립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며, 신약 개발, 환경위해평가, 식품 및 의약품 안전성 평가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독성병리학 및 환경독성 연구는 미래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안전성 평가와 질병 예방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동물모델을 활용한 암 및 만성질환 예방 연구
암 및 만성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동물모델 연구는 본 연구실의 또 다른 핵심 분야입니다. 다양한 동물모델(설치류, 어류 등)을 활용하여 대장암, 간암, 위암, 신장암 등 주요 암종의 발생 기전과 예방, 치료 효과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천연물 유래 화합물(예: 엘라그산, 인돌-3-카비놀, 셀레늄, 키토산 등) 및 식이성분의 항암 효과와 기전을 규명하는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내분비계 장애물질, 환경호르몬, 약물 등이 생식기능 및 발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암 예방 및 치료제의 효능 평가를 위한 동물모델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자 변형 동물모델(ApcMin/+ 마우스 등)을 이용한 분자병리학적 연구를 통해 암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 및 만성질환의 예방과 조기 진단, 새로운 치료법 개발에 중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인체 건강 증진과 질병 부담 감소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동물모델 기반 암 및 만성질환 연구는 국내외 학계와 산업계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1
Shedding and extensive and prolonge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of goat farms of Q fever patients by Coxiella burnetii
정혜원, 김희성, 김용대, 한미나, 채문희, 한성태, 김준형, Stalin Nattan, 변현섭, 안병우
VETERINARY MEDICINE AND SCIENCE, 202205
2
The effect of mutations derived from mouse-adapted H3N2 seasonal influenza A virus to pathogenicity and host adaptation
안병우, 한명국, 최은지, 이영재, 이진무, 김연정, 최장훈, 김기순
PLOS ONE, 202001
3
Effects of gemfibrozil on sex hormones and reproduction related performances of Oryzias latipes following long-term (155 d) and short-term (21 d) exposure
이고운, 김선미, 하나영, 이상우, 김필제, 박경화, 고영림, 최경호, 안병우
ECOTOXICOLOGY AND ENVIRONMENTAL SAFETY, 201905
1
독성시험 및 독성병리자료 검증 조사연구(II)
식품의약품안전처
2012년 02월 ~ 2012년 11월
2
제품화를 위한 생물의약품 전임상/임상 물질 개발 (3년차)
(재)충청광역경제권 선도산업 지원단
2011년 05월 ~ 2012년 04월
3
독성시험 및 독성병리자료 검증 조사연구
식품의약품안전처
2011년 ~ 2011년 1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