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한승훈 연구실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한승훈 교수

한승훈 연구실

의과대학 (약리학교실) 한승훈

한승훈 연구실은 임상약리학 및 계량약리학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신약 개발 및 기존 약물의 최적화,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 약물 상호작용 및 약동·약력학 특성 분석 등 다양한 임상약리학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집단약동학 모델링, 실제 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약물치료 최적화, 디지털 헬스 기반의 임상시험 시스템 개발 등 최신 연구 트렌드를 반영한 다학제적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항암제 및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대상 대규모 임상연구를 통해, 다발성 골수종 환자의 2차 악성종양, 심혈관계 질환, 인지기능 저하 등 장기 생존자에서의 다양한 임상적 위험요인과 예후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전국 단위 코호트 및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환자군과 대조군 간의 위험도 비교, 예측모델 개발, 임상적 의사결정 지원 도구 구축 등 실질적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지털 헬스 기술을 접목한 비대면 임상시험 시스템 구축, 모바일 기반 데이터 수집 플랫폼 개발,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등 혁신적 연구 인프라를 개발하여 임상시험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임상시험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국내외 임상연구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제 임상 현장에서 요구되는 문제 해결과 혁신적 치료 전략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약물치료 모니터링(TDM), 신약의 임상 1상 설계 및 용량 예측, 웹 기반 진단·예측 도구 개발 등 실용적 연구를 통해 환자 안전성 제고와 치료 효과 극대화를 위한 근거 기반 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한승훈 연구실은 임상약리학, 계량약리학, 디지털 헬스 융합 연구를 통해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와 미래 지향적 임상연구 환경 조성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것입니다.

임상약리학 및 계량약리학 연구
임상약리학은 약물의 체내 동태와 약물 반응을 연구하여 환자 맞춤형 치료를 실현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합니다. 본 연구실은 다양한 신약 및 기존 약물의 약동학(PK)과 약력학(PD)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최적의 투약 전략을 제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ADME) 특성에 대한 집단약동학 모델링을 통해 인구 집단별 차이를 정량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계량약리학(Pharmacometrics)은 수학적 모델과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약물의 효과와 안전성을 예측하는 학문입니다. 연구실에서는 NONMEM, R, Simcyp 등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신약 개발 초기 단계부터 임상시험 설계, 약물 상호작용 평가, 용량-반응 관계 분석 등 전주기적 연구를 진행합니다. 이러한 계량적 접근은 임상시험의 효율성을 높이고, 환자 개개인에 맞는 맞춤형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본 연구실은 실제 임상 데이터를 활용한 약물 치료 최적화 연구, 디지털 헬스 기반의 비대면 임상시험 시스템 구축, 모바일 기반 데이터 수집 플랫폼 개발 등 최신 기술을 접목한 임상약리학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외 제약·의료 현장에서 요구되는 실질적 문제 해결과 혁신적 치료 전략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항암제 및 조혈모세포이식 환자 대상 임상연구
본 연구실은 다수의 항암제 및 조혈모세포이식 환자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 임상연구를 수행해 왔습니다. 특히,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환자에서의 2차 악성종양, 심혈관계 질환, 인지기능 저하(치매) 등 장기 생존자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임상적 위험요인과 예후를 분석하는 연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전국 단위 코호트 및 건강보험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환자군과 대조군 간의 위험도 비교, 예측모델 개발, 임상적 의사결정 지원 도구 구축 등 실질적 임상 현장에 적용 가능한 연구 성과를 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혈모세포이식 환자에서의 대사질환(고혈압, 당뇨, 이상지질혈증 등) 발생 위험, 이식 전 우울증·치매가 이식 후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이식 후 2차 비혈액암 발생률 등 다양한 후향적·전향적 연구를 통해 환자 맞춤형 관리 전략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환자 예후 개선, 장기 생존자 관리, 합병증 예방 등 임상 현장에서의 실질적 가이드라인 마련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약물치료 모니터링(TDM), 신약의 임상 1상 설계 및 용량 예측, 웹 기반 진단·예측 도구 개발 등 항암제 및 이식 환자 특화 임상약리학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안전성 제고와 치료 효과 극대화를 위한 근거 기반 의학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디지털 헬스 및 비대면 임상시험 시스템 개발
최근 임상연구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본 연구실은 디지털 헬스 기술을 활용한 비대면 임상시험 시스템 구축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기반의 임상시험 플랫폼, 실시간 데이터 수집 및 환자-연구자 간 양방향 소통 모델, 원격 모니터링 시스템 등 혁신적 연구 인프라를 개발하여 임상시험의 효율성과 접근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폰 및 태블릿을 활용한 비대면 약물 복용 모니터링 시스템(VSMS) 개발 및 실제 임상시험 적용, 모바일 임상시험 플랫폼의 글로벌 사업화(싱가포르, 미국 등) 시범사업, 공익적 분산형 임상연구 기반 구축 등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비대면 임상시험의 필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국내외 임상연구 패러다임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디지털 헬스 데이터와 임상약리학적 분석을 융합하여, 환자 맞춤형 약물치료, 실시간 이상반응 감시, 임상시험 참여자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의 디지털 헬스 연구는 미래 임상연구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며, 환자 중심의 안전하고 효율적인 임상시험 환경 조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Participant Adherence in Repeated-Dose Clinical Studies Using Video-Based Observation: Retrospective Data Analysis
한승훈, 송지홍, 한성필, 최수인, 임종혁, 오병엽, 신동오
JMIR MHEALTH AND UHEALTH, 2025
2
Rapid Differentiation of False Positives of Galactomannan Related to Contaminated Intravenous Fluids via a Pharmacokinetics Model and Innovative Web-Based Tool
이래석, 최수인, 차화준, 노덕희, 조성연, 한승훈, 이동건
OPEN FORUM INFECTIOUS DISEASES, 2025
3
Dementia Incidence in Survivors of Multiple Myeloma: A National Case-Control Study Conducted in Korea (The CAREMM-2106 Study)
하정훈, 최수인, 문슬지, 한진선, 이정윤, 박성수, 왕성민, 한승훈, 민창기
CLINICAL LYMPHOMA MYELOMA & LEUKEMIA, 2025
1
공익적 분산형 임상연구 기반 구축
질병관리청
2024년 06월 ~ 2024년 12월
2
코호트 운영을 위한 디지털 기술 기반의 양방향 소통 모델 개발
질병관리청
2023년 07월 ~ 2024년 12월
3
비대면 임상시험 시스템 구축
보건복지부
2022년 07월 ~ 2022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