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고석재 연구실

경희대학교 한의학과

고석재 교수

고석재 연구실

한의학과 고석재

고석재 연구실은 한의학 내과학, 특히 소화기 질환 분야에서 국내외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기능성 소화불량, 과민대장증후군, 위식도역류질환, 만성 췌장염, 염증성 장질환 등 다양한 소화기 질환을 대상으로 한의학적 진단 및 치료의 표준화와 과학적 근거 확립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한의학적 변증 도구와 설문지(예: 식적, 담음, 비위기허 등)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복진·설진·맥진 등 전통 진단법의 정량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초음파, 심박변이도, 양도락, 생체신호 등 현대적 진단기법과 한의학적 진단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진단의 객관성과 임상적 활용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한약 및 복합 처방(보장건비탕, 비화음, 시호소간탕, 감초사심탕, 육군자탕 등)의 소화기 질환 치료 효과와 작용 기전에 대한 임상시험, 동물실험, 네트워크 약리학, 메타분석 등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NSAIDs 유발 소장 손상, 염증성 장질환, 만성 췌장염, 기능성 소화불량 등에서 한약의 항염증, 항섬유화, 장운동 조절, 장내 미생물 조성 변화 등 치료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AI)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융합하여, 뇌-신체 생체신호 기반 변증 알고리즘 개발, 진단 자동화 시스템 구축, 임상 데이터 기반 패턴 인식 등 한의학의 현대화와 정밀의료 실현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융합 연구는 한의학의 객관화, 표준화,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고석재 연구실은 한의학과 현대의학, 디지털 기술의 융합을 통해 환자 맞춤형 치료와 통합의료 실현을 목표로 하며,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 안전성 평가, 환자 삶의 질 향상 등 실질적인 임상적·사회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한의학 기반 소화기 질환 치료 및 진단 표준화 연구
본 연구실은 한의학적 내과학, 특히 소화기 질환의 진단과 치료 표준화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기능성 소화불량, 과민대장증후군, 위식도역류질환 등 다양한 소화기 질환에 대해 한의학적 변증 도구와 설문지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의학적 진단의 객관성과 재현성을 높이고, 임상 현장에서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자 합니다. 특히, 복진, 설진, 맥진 등 전통적 진단법의 정량화와 표준화에 대한 연구가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복진의 압통 및 강직을 수치화할 수 있는 환자 보고식 압통계(patient-report pressure algometer)를 개발하여, 진단의 주관성을 줄이고 임상적 신뢰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초음파 위배출능 측정, 양도락 검사 등 현대적 진단기법과 한의 설문지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한의학적 진단의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의학과 현대의학의 융합을 촉진하며, 한의학적 진단 및 치료의 국제적 표준화와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환자 맞춤형 치료와 통합의료 실현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한약 및 복합처방의 소화기 질환 치료 효과 및 기전 규명
연구실은 다양한 한약 및 복합 한의 처방의 소화기 질환 치료 효과와 작용 기전에 대한 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보장건비탕, 비화음, 시호소간탕, 감초사심탕, 육군자탕 등 전통 한약 처방의 임상적 유효성과 안전성을 무작위 대조군 임상시험, 동물실험, 네트워크 약리학, 메타분석 등 다양한 방법론으로 검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NSAIDs(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유발 소장 손상, 염증성 장질환, 만성 췌장염, 과민대장증후군, 기능성 소화불량 등 다양한 질환 모델에서 한약의 항염증, 항섬유화, 장운동 조절, 장내 미생물 조성 변화 등 치료 효과와 분자생물학적 기전을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약의 주요 성분이 신경전달물질, 호르몬(모틸린 등), 이온채널(TRPV1, TRPV4, NaV1.5 등), 면역세포 및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약의 과학적 근거를 확립하고, 기존 서양의학 치료의 한계를 보완하는 통합적 치료 전략을 제시합니다. 더불어, 한약의 안전성 평가와 부작용 모니터링, 임상 가이드라인 개발을 통해 환자 중심의 맞춤형 치료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의학과 인공지능·디지털 헬스케어 융합 연구
연구실은 한의학적 진단과 치료의 객관화 및 정밀화를 위해 인공지능(AI)과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능성 소화불량 환자의 뇌-신체 생체신호(뇌파, 맥파, 피부전도, 심전도 등)를 통합 분석하여 AI 기반 변증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임상 진단의 표준화와 신뢰성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설진 및 복진 등 전통 진단법의 디지털화, 자동화 시스템 개발, 임상 데이터 기반 패턴 인식, 생체신호와 임상 증상의 상관성 분석 등 다양한 융합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의학적 진단의 주관성을 최소화하고, 데이터 기반의 정밀의료를 실현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한의학의 현대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환자 맞춤형 치료와 예후 예측, 임상 의사결정 지원 등 미래 의료 패러다임 전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1
Anti-fibrotic effects of Saengmaek-san, a prescription of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n bleomycin-induced pulmonary fibrosis mice model
Dong-hyun Lee, Jeong-Won Shin, Kim, Eui-Joong, 이서경, 김장훈, 배진현, 박재우, 김관일, 정희재, 고석재, Kim, Yejin, Yoo, Hye Hyun, 부영민, 이범준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2504
2
Effect of Bojanggunbi-tang and its primary constituent herbs on the gastrointestinal tract: a scoping review
박채현, 김민정, 박재우, 김진성, 부영민, 고석재
FRONTIERS IN PHARMACOLOGY, 202503
3
Pattern Identification in Patients with Functional Dyspepsia Using Brain-Body Bio-Signals: Protocol of a Clinical Trial for AI Algorithm Development
고원준, 김준석, 채윤병, 이인선, 고석재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202502
1
[기본_1/2] NSAID유발 장 점막 손상에 대한 한약의 치료/예방적 효과 및 기전 연구
한국연구재단(학술진흥)
2019년 06월 ~ 2021년 0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