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태영 연구실
자원에너지공학과 진태영
진태영 연구실은 자원경제 및 에너지 정책, 에너지 효율, 탄소중립 전략 등 에너지와 자원 분야의 다양한 이슈를 심층적으로 연구하는 곳입니다. 본 연구실은 에너지 시장의 구조와 정책 변화가 자원 배분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며, 국가 및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전력 공급지장비용(Value of Lost Load, VoLL) 추정, 에너지효율향상 의무화제도(EERS) 개선, RE100 이니셔티브의 국내 적용 가능성 등 실질적이고 시의성 있는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별·지역별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특성을 분석하여, 맞춤형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이를 위해 다양한 계량경제학적 방법론과 실증 데이터를 활용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에너지 효율 투자 내재적 할인율(IDR) 추정, 에너지효율 네트워크 구축, 미활용 열에너지의 지역난방 활용, 전기차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 등 신기술 및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효과를 다각도로 평가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전환, 전력시장 개편, 그리고 탄소중립 달성 등 국가적 과제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습니다.
진태영 연구실은 정책 입안자, 산업계, 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정책 제언을 통해, 에너지 시스템의 혁신과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선도하고자 합니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실은 자원과 에너지의 효율적 관리, 경제 발전, 그리고 환경 보호라는 세 가지 목표를 조화롭게 달성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사회 구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자원경제 및 정책
자원경제 및 정책 연구는 에너지와 자원 분야의 경제적, 정책적 측면을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본 연구실에서는 자원의 효율적 배분과 활용, 그리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설계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시장의 구조와 가격 메커니즘, 자원 배분의 효율성, 그리고 정책 변화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에너지 및 자원 시장의 동향을 반영하여, 실증적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책 효과를 평가하고, 최적의 정책 대안을 제시하는 데 기여합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지장비용(Value of Lost Load, VoLL) 추정, 에너지효율향상 의무화제도(EERS) 개선 방안, 그리고 RE100 등 글로벌 이니셔티브의 국내 적용 가능성 분석 등이 주요 연구 주제입니다. 또한, 산업별·지역별 에너지 소비 및 온실가스 배출 특성을 분석하여, 맞춤형 정책 수립을 위한 근거를 제공합니다.
자원경제 및 정책 연구는 에너지 전환, 탄소중립, 그리고 기후변화 대응 등 국가적 과제와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정책 입안자와 산업계, 학계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자원 관리와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에너지 효율 및 탄소중립 전략
에너지 효율 및 탄소중립 전략은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 연구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산업, 상업, 가정 등 다양한 부문에서 에너지 효율을 높이고, 온실가스 배출을 저감하기 위한 정책과 기술적 방안을 모색합니다. 이를 위해 에너지 소비 구조 분석, 에너지 효율 투자 내재적 할인율(IDR) 추정, 에너지효율향상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실증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부문과 제조업의 에너지 소비 패턴을 분석하여, 에너지 집약적 산업의 효율 개선과 탈탄소화를 위한 맞춤형 전략을 제시합니다. 또한, 전기차, 지역난방, 미활용 열에너지 등 신기술 및 신재생에너지의 도입 효과를 평가하고, 이를 통한 온실가스 감축 잠재력을 정량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러한 연구는 에너지 전환 정책, 전력시장 개편, 그리고 RE100과 같은 글로벌 이니셔티브와 연계되어, 국가 및 지역 단위의 탄소중립 달성에 실질적으로 기여합니다.
에너지 효율 및 탄소중립 전략 연구는 정책적·경제적 효과뿐만 아니라 사회적 수용성, 기술적 실현 가능성까지 포괄적으로 고려합니다. 본 연구실은 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정책 제언을 통해, 에너지 시스템의 혁신과 저탄소 사회로의 전환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1
Revealing the role of institutional quality and geopolitical risk in natural resources curse hypothesis
진태영, 정창우
Resources Policy, 2024
2
Estimating the potential of Power-to-Heat (P2H) in 2050 energy system for the net-zero of South Korea
진태영
Energy, 2024
3
Evaluation of decarbonization cost transfer: From transport to power sector in South Korea
김재엽, 이태의, 김도원, 진태영
RENEWABLE & SUSTAINABLE ENERGY REVIEWS, 2024
1
메타회귀분석 편익이전 기법을 이용한 전력 공급지장비용(VOLL) 추정 연구
2
산업부문 무탄소에너지 기반 청정전력 사용에 따른 기대효과
3
상업?공공부문 대상 공급지장비용 추정 및 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