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nDCircle Logo
arrow left icon

ACE lab

한국과학기술원 공학생물학대학원

이균민 교수

CHO Cell Engineering

Recombinant Protein Production

ACE lab

공학생물학대학원 이균민

ACE Lab(Animal Cell Engineering Lab)은 동물세포 공학을 기반으로 한 치료용 단백질 및 바이오의약품 생산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선도적인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주로 중국 햄스터 난소(CHO) 세포와 인간 유래 세포(HEK293 등)를 활용하여 항체, 백신, 성장인자, 효소 등 다양한 치료용 재조합 단백질의 대량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세포주 개발, 유전자 편집, 배양공정 최적화, 세포 사멸 조절, 품질 관리 등 바이오의약품 생산 전주기에 걸친 통합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의 핵심 연구 분야 중 하나는 고생산성 세포주 개발입니다. 이를 위해 CRISPR/Cas9 등 첨단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하여 생산성, 생존성, 품질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세포주를 신속하게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표적 유전자 통합, 합성생물학적 설계, 시스템생물학 기반의 대사경로 분석 등 혁신적인 접근법을 통해 클론 변이 문제를 최소화하고, 일관성 있는 고품질 단백질 생산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배양공정 최적화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온도, pH, 삼투압, 영양소 조성, 배지 첨가제 등 다양한 배양 조건을 체계적으로 분석 및 최적화하여 세포의 성장과 단백질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양 중 발생하는 암모니아, 젖산 등 노폐물 축적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아폽토시스, 오토파지 등)을 조절함으로써 장기 배양 시에도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습니다. 세포 사멸 조절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세포공학 연구도 본 연구실의 중요한 축입니다. 항-아폽토시스 유전자, 오토파지 조절 유전자, 신호전달 경로 조작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세포의 스트레스 내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프로테오믹스, 트랜스크립토믹스 등 오믹스 기반의 분석을 통해 품질 저하 요인을 규명하고, 고품질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품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실제 바이오의약품 산업 현장에서 요구하는 대규모 생산, 고품질·고생산성의 치료용 단백질 생산, 맞춤형 의약품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국내외 제약회사 및 바이오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이전 및 상용화에도 활발히 기여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혁신적인 세포공장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앞장설 것입니다.

CHO Cell Engineering
Recombinant Protein Production
동물세포 공학을 통한 치료용 단백질 생산
동물세포 공학은 치료용 단백질, 특히 재조합 단백질의 대량 생산을 위한 핵심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주로 중국 햄스터 난소(CHO) 세포를 이용하여 다양한 치료용 단백질, 항체, 백신 등을 생산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CHO 세포는 인간과 유사한 당화(glycosylation) 패턴을 제공할 수 있어, 치료제의 효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연구실에서는 CHO 세포의 유전자 조작, 배양 조건 최적화, 세포주 개발 등 다양한 접근법을 통해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전자 편집 기술(CRISPR/Cas9 등)을 활용하여 세포 내 특정 유전자(예: 항-아폽토시스 유전자, 생산성 관련 유전자 등)를 조절함으로써 세포의 생존력과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세포주 개발 과정에서 발생하는 클론 변이(clonal variation)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표적 유전자 통합 및 고효율 선별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생산 효율이 높고 품질이 우수한 세포주를 신속하게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실제 산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대규모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정에 직접적으로 적용되고 있으며, 국내외 제약회사 및 바이오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기술이전 및 상용화에도 활발히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동물세포 공학 기반의 치료용 단백질 생산 기술은 맞춤형 의약품,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개발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전망입니다.
세포주 개발 및 배양공정 최적화
치료용 단백질의 대량 생산을 위해서는 고생산성 세포주의 개발과 배양공정의 최적화가 필수적입니다. 본 연구실은 유전자 도입, 선택마커 시스템(DHFR, GS 등), CRISPR/Cas9 기반의 표적 유전자 편집 등 다양한 세포주 개발 전략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합성생물학 및 시스템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세포 내 대사경로를 분석하고, 생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병목(bottleneck) 요소를 규명하여 이를 극복하는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배양공정 측면에서는 온도, pH, 삼투압, 영양소 조성, 배지 첨가제(예: 포르스콜린, 리튬염, 발레르산 등) 등 다양한 배양 조건을 체계적으로 최적화하여 세포의 성장과 단백질 생산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배양 중 발생하는 노폐물(암모니아, 젖산 등)의 축적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아폽토시스, 오토파지 등)을 조절함으로써 장기 배양 시에도 높은 생산성과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포주 개발 및 배양공정 최적화 연구는 실제 바이오의약품 산업에서 요구하는 고품질·고생산성의 치료용 단백질 생산을 실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차세대 바이오의약품 생산을 위한 혁신적인 세포공장 및 공정 기술 개발에 앞장설 것입니다.
세포 사멸 조절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세포공학
치료용 단백질 생산 과정에서 세포의 사멸(아폽토시스, 오토파지 등)은 생산성 저하와 품질 저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본 연구실은 세포 사멸 경로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세포의 생존기간을 연장하고, 생산성을 높이는 다양한 세포공학적 전략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항-아폽토시스 유전자(Bcl-2, Bcl-xL 등)의 과발현, 오토파지 조절 유전자(Beclin-1 등)의 조합적 조절, 그리고 세포 내 신호전달 경로(Akt, mTOR 등)의 조작을 통해 세포의 스트레스 내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세포 배양 중 발생하는 품질 저하 요인(예: 당화 이상, 단백질 변형, 노폐물 축적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양한 분자생물학적, 생화학적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품질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프로테오믹스, 트랜스크립토믹스 등 오믹스 기반의 분석을 통해 세포 내 단백질 및 유전자 발현 변화를 정밀하게 모니터링하고, 품질 향상에 기여하는 핵심 인자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고품질의 바이오의약품 생산뿐만 아니라, 세포공학적 접근을 통한 맞춤형 치료제 개발, 신약 후보물질의 생산 플랫폼 구축 등 다양한 바이오산업 분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1
SiMPl-GS: Advancing Cell Line Development via Synthetic Selection Marker for Next-Generation Biopharmaceutical Production
C. Yoon, E. J. Lee, D. Kim, S. Joung, Y. Kim, H. Jung, Y. G. Kim, G. M. Lee
Adv. Sci., 2024
2
Genome-Wide CRISPR/Cas9 Screening Unveils a Novel Target ATF7IP-SETDB1 Complex for Enhancing Difficult-to-Express Protein Production
S. H. Kim, J. Park, S. Shin, S. Shin, D. Chun, Y. G. Kim, J. Yoo, W. K. You, J. S. Lee, G. M. Lee
ACS Synth. Biol., 2024
3
Unraveling Productivity-Enhancing Genes in Chinese Hamster Ovary Cells via CRISPR Activation Screening Using Recombinase-Mediated Cassette Exchange System
M. Baek, C. L. Kim, S. H. Kim, K. J. la Cour Karottki, H. Hefzi, L. M. Grav, L. E. Pedersen, N. E. Lewis, J. S. Lee, G. M. Lee
Metabolic Eng., 2024
1
Development of Improved HEK293 Cell lines for Viral Vector Production(AAV production)(2024년도)
MERCK
2024년 07월 ~ 2025년 06월
2
(RCMS)표적특이적 AAV기반 유전자치료제 생산을 위한 고생산성 세포주 및 맞춤형 배지 제조기술개발(2024년도)
(주)글루진테라퓨틱스
2024년 04월 ~ 2024년 12월
3
(통합EZ)대덕특구 바이오헬스 기술사업화 협업 플랫폼 구축사업(2023년도)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2023년 ~ 2023년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