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영역

대표 연구 분야

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및 생리활성 연구

김명곤 연구실은 다양한 식물 및 버섯 자원을 활용하여 기능성 식품 소재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특히 꾸지뽕, 천년초, 오미자, 멜론, 수박 등 국내외 자원식물의 생리활성 성분을 분석하고, 이들의 항산화, 항비만, 항염증, 신경보호 등 다양한 생리활성 효과를 규명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품의 건강기능성 증진과 더불어, 고부가가치 식품 소재의 산업화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최신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카로티노이드 등 다양한 생리활성 화합물을 정량·정성 분석하고, 이들의 작용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탐구합니다. 또한, 발효 및 효소처리 등 생물전환 기술을 적용하여 기존 식품 소재의 기능성을 극대화하고, 새로운 기능성 성분을 창출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건강기능식품, 미용식품, 특수 영양식품 등 다양한 응용 분야로의 확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외 학술지 논문, 특허, 산학협력 프로젝트 등으로 활발히 이어지고 있으며, 산업체와의 협력을 통해 실제 제품 개발 및 상용화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김명곤 연구실의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 연구는 국민 건강 증진과 식품산업의 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2

발효 및 생물전환 공정의 최적화와 응용

연구실은 전통 발효식품 및 현대 생물전환 공정의 융합을 통해 식품의 품질과 기능성을 극대화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버섯균, 효모, 유산균 등 다양한 미생물을 활용하여 꾸지뽕, 옻, 콩, 곡류, 과일 등 다양한 원료의 발효 및 생물전환을 진행하며,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익한 생리활성 성분의 변화와 최적화 조건을 체계적으로 분석합니다. 특히, 발효를 통한 독성물질 저감화, 유용 성분의 증진, 풍미 및 저장성 개선 등 다각적인 효과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전통장류, 발효주, 식초, 두유, 치즈 등 다양한 발효식품의 제조공정 표준화와 품질 향상에 실질적으로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효소공학적 접근을 통해 특정 기능성 아미노산, 사포닌, 항산화물질 등의 선택적 증강 및 분리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신제품 개발 및 산업화에 힘쓰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발효공정의 미생물학적, 화학적, 공학적 측면을 통합적으로 접근하여, 식품공학 분야의 융합연구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발효 및 생물전환 연구는 국내외 특허 출원, 산학협력 과제, 학술대회 발표 등으로 이어지며, 지역 특산물의 부가가치 창출과 농식품 산업의 혁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김명곤 연구실은 전통과 현대기술의 조화를 통해 건강하고 안전한 식품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