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융합에너지공학과 우종률 교수
우종률 연구실은 에너지환경정책기술학과를 기반으로, 에너지 전환과 지속가능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재생에너지 확산, 에너지효율 향상, 미래 모빌리티와 에너지 시스템의 융합, 그리고 에너지 정책의 사회적·경제적 효과 분석 등 폭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태양광·풍력·수소 등 재생에너지 기술의 경제성 평가와 확산 전략, 기업 및 산업단지의 RE100 이행 방안, 그리고 커뮤니티 기반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사회적 수용성 분석을 통해, 국가 및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기차·수소차 등 친환경 모빌리티의 확산과 이와 연계된 에너지 시스템 통합, V2G 및 충전 인프라 정책, 그리고 운전자 및 소비자 행동 분석을 통해, 미래 에너지-교통 융합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연구실은 에너지효율 투자 결정요인, 에너지효율 네트워크 구축, 수요관리 프로그램의 효과성 평가 등 에너지 소비구조 혁신을 위한 정책 연구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업 및 가정의 에너지효율 투자 내재적 할인율(IDR) 분석, 메시지 프레이밍을 통한 행동유도, 그리고 에너지복지 정책의 사회적 수용성 연구 등 행동경제학적 접근을 통해, 실효성 있는 에너지효율 정책 설계를 지원합니다. 이 외에도,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술 및 정책 전략, 폐기물-에너지 전환,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그리고 원자력 및 신재생에너지 시설의 사회적 수용성 등 다양한 에너지·환경 이슈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기반 정책 평가, 선택실험법, 계량경제학적 분석 등 첨단 연구방법론을 적극 활용하여, 정책 설계자, 기업, 지역사회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에게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제시합니다. 우종률 연구실은 국내외 에너지 전환과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한 학제적 연구와 정책적 실천을 선도하고 있으며, 에너지·환경 분야의 미래를 이끌어갈 전문 인재 양성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