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천연물 기반 항염증 및 피부질환 치료 연구
이영미 연구실은 천연물 유래 성분을 활용한 항염증 및 피부질환 치료 연구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최근 미세먼지, 디젤 배출입자 등 환경 유해물질로 인한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 등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다양한 한약재 및 식물 추출물의 효능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Hibiscus cannabinus L. 꽃, Cheungsam 종피, Wheatgrass-Aronia 혼합 추출물 등 다양한 식물성 소재의 항염증, 항산화, 피부장벽 개선 효과를 세포 및 동물 모델에서 체계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은 피부염의 주요 원인인 염증성 사이토카인, 케모카인, ROS(활성산소종) 생성 억제, NF-κB, MAPK, NLRP3 inflammasome 등 신호전달 경로의 조절 기전을 심도 있게 분석합니다. 또한 피부장벽 단백질(필라그린, 인볼루크린 등)의 회복, 수분 손실 억제 등 피부 보호 효과를 다각도로 검증하여, 실제 피부질환 치료제 및 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로 연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SCI급 국제학술지 논문, 특허, 산업체 협력 프로젝트 등으로 활발히 이어지고 있으며, 천연물 기반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피부질환 치료제 및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개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미세먼지 등 환경 변화에 대응하는 맞춤형 한약 및 천연물 소재 발굴과 기전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계획입니다.
2
천연물의 대사성 질환 및 만성질환 개선 연구
연구실은 비만, 당뇨, 지방간, 대장암 등 대사성 및 만성질환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천연물 소재의 효능 및 작용기전 연구도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Triticum aestivum(밀순), Chrysanthemum indicum(감국), Euphorbia supina(애기땅빈대), Gastrodia elata(천마) 등 다양한 한약재 및 식물 추출물이 비만, 지방간, 당뇨, 대장염, 대장암 등에서 보이는 항비만, 항산화, 항염증, 항암 효과를 세포 및 동물 모델을 통해 규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PPAR-γ, C/EBP, AMPK, SREBP-1c 등 대사조절 유전자 및 신호전달 경로의 조절, 지방세포 분화 억제, 지방 축적 감소, 인슐린 분비 촉진, 간세포 보호, 장내 염증 억제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전을 다각적으로 분석합니다. 또한, mast cell(비만세포) 활성 조절, 면역반응 조절, 항산화 효소 활성 증가 등 면역 및 항산화 시스템 강화 효과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기능성 식품 소재 개발로 이어지고 있으며, 관련 특허 및 산학협력 프로젝트, 정부과제 등으로 기술이전 및 사업화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만성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새로운 천연물 소재 발굴과 과학적 근거 마련에 주력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