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전병화 교수
전병화 연구실은 순환기생리학을 중심으로 심혈관계의 기능과 질환, 특히 혈관염증의 분자적 조절 메커니즘을 심도 있게 연구하는 의생명과학 연구실입니다. 본 연구실은 혈관 내피세포의 기능 변화, 산화환원 조절 단백질(APE1/Ref-1) 및 p66shc와 같은 신호전달 단백질의 역할, 그리고 이들이 고혈압, 죽상경화증, 심근염 등 다양한 심혈관 질환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동물모델과 세포실험을 통해 혈관 내 염증 반응의 조절 기전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치료 타겟과 바이오마커를 발굴하는 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APE1/Ref-1 단백질의 항염증 및 항산화 기능에 주목하여, 이 단백질이 혈관 내 염증성 질환에서 어떤 보호적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혈중 APE1/Ref-1 농도가 질환의 진단 및 예후 예측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APE1/Ref-1의 분비 조절, 변이체의 기능, 그리고 이 단백질을 활용한 약학적 조성물 개발 등 실용화 연구도 병행하고 있으며, 실제로 여러 특허와 기술이전, 임상적 응용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또한 다양한 식물 유래 성분(파프리카, 배추 등)과의 융합 연구를 통해 천연물 기반의 혈관염증 질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심혈관 질환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그리고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며, 실제로 여러 국내외 학술대회와 협력 연구를 통해 연구성과를 확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APE1/Ref-1을 이용한 혈관염증, 암, 자가면역질환 등 다양한 질환의 바이오마커 및 치료제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혈관 내 염증 반응의 조절 기전을 심층적으로 규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동물모델과 임상 샘플을 활용하여 연구 결과의 실용성과 임상 적용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실의 활동은 차세대 심혈관질환 및 염증성 질환의 조기 진단, 예후 예측,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으며, 실제로 다수의 특허, 기술이전, 임상적 응용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전병화 연구실은 심혈관 및 염증성 질환 극복을 위한 혁신적 연구와 실용화에 앞장설 것입니다.
대표 연구 분야 확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