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창규 연구실
의과대학 성창규
성창규 연구실은 의학 영상진단 분야, 특히 비뇨기 진단방사선학과 분자영상, 전기 천공법 등 첨단 융합기술을 기반으로 한 암 진단 및 치료 연구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본 연구실은 전립선암, 신장 질환, 남성 불임 등 다양한 비뇨기계 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후 예측을 위해 MRI, CT, 초음파 등 다양한 영상기법의 임상적 적용과 최적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 맞춤형 진단과 치료 방침 수립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특히, 전립선암의 정밀 진단을 위한 다중 파라미터 MRI 및 PI-RADS 시스템의 평가, 신장 질환 환자에서의 도플러 초음파 활용, 남성 불임 환자에서의 초음파 검사법 개발 등 임상 현장에서 직접 활용 가능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인공지능 기반의 임상 결정 보조 시스템 개발, 영상 데이터의 정량적 분석 등 최신 IT 기술을 접목하여 진단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전기 천공법을 이용한 암 조직의 선택적 파괴 및 치료 효율 증대, 조직학적 반응 및 열손상 분석, 수치해석을 통한 치료 예측 모델 개발 등 기초와 임상을 아우르는 융합 연구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암표적 나노 조영제를 활용한 분자영상 진단법, 유전자 증폭기 개발 등 혁신적 연구를 통해 미래 정밀의료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은 다양한 국가 연구과제와 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최신 영상진단기술과 분자영상, 전기 천공법 등 첨단 융합기술을 임상에 적용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의료 현장의 진단·치료 혁신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성창규 연구실은 영상의학과 생명공학, 인공지능 등 다양한 분야의 융합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환자 중심의 맞춤형 진단과 치료, 그리고 의료기술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계획입니다.
비뇨기 진단방사선학의 최신 영상기법 개발
비뇨기 진단방사선학은 전립선, 신장, 방광 등 비뇨기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인 영상의학 분야입니다. 본 연구실은 전립선암, 신장 질환, 남성 불임 등 다양한 비뇨기계 질환의 조기 진단과 예후 예측을 위해 자기공명영상(MRI), 컴퓨터단층촬영(CT), 초음파 등 첨단 영상기법의 임상적 유용성을 심도 있게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립선암의 정밀 진단을 위한 다중 파라미터 MRI 및 PI-RADS 시스템의 평가, 신장 질환 환자에서의 도플러 초음파의 활용, 남성 불임 환자에서의 초음파 검사법 개발 등 다양한 임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영상기법의 정확도와 민감도를 높이기 위한 새로운 분석법과 인공지능 기반의 임상 결정 보조 시스템 개발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전립선암의 정낭 침습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서포트 벡터 머신(SVM) 및 인공신경망(ANN) 기반의 영상 분석, 신장 질환 환자에서의 저선량 CT 프로토콜 최적화, 그리고 남성 불임 환자에서의 고해상도 초음파를 통한 정자 형성 장애 진단 등이 대표적입니다. 또한, 다양한 영상 데이터의 정량적 분석을 통해 질환의 중증도 평가와 치료 방침 결정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이 연구실의 비뇨기 진단방사선학 연구는 환자 맞춤형 진단과 치료, 그리고 예후 예측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임상 현장에서의 진단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최신 영상기술과 인공지능을 접목한 혁신적인 진단법 개발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전기 천공법(Electroporation) 및 분자영상 기반 암 진단·치료 연구
전기 천공법(electroporation)은 고전압 전기 펄스를 이용해 세포막의 투과성을 일시적으로 증가시켜 유전자, 약물, 나노입자 등을 세포 내로 전달하는 혁신적인 기술입니다. 본 연구실은 전기 천공법을 이용한 암 조직의 선택적 파괴 및 치료 효율 증대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간암, 폐암 등 다양한 장기에서의 전기 천공법 적용과 조직 손상 메커니즘, 그리고 최적의 치료 조건 도출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동물모델과 임상 데이터를 활용해 전기 천공법의 조직학적 반응과 열손상, 혈관 및 담관 구조 보존 여부 등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치해석 및 수학적 모델링을 통해 전기 에너지와 조직 괴사 범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치료 예측 모델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전기 천공법을 이용한 유전자 증폭기 개발, 암표적 나노 조영제를 활용한 분자영상 진단법 등 첨단 융합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암의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 그리고 환자 맞춤형 치료 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전기 천공법과 분자영상 기술의 융합을 통해 암 진단의 정확도를 높이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혁신적 치료법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정밀의료 실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1
Limited utility of subendometrial enhancement in assessing the interface between the endometrium and myometrium
Kim Sang Youn, 문민환, Lee Myoung Seok, 성창규, Oh Sohee
SCIENTIFIC REPORTS, 202410
2
Transitional zone prostate cancer: Performance of texture-based machine learning and image-based deep learning
정현, 손환철, Lee Myoung Seok, 문민환, Kim Young Jae, Kim Kwang Gi, 박정환, 성창규
MEDICINE, 202309
3
Histological Response to 5 kHz Irreversible Electroporation in a Porcine Liver Model
성창규, Kim Hong Bae, Baik Ku Youn
TECHNOLOGY IN CANCER RESEARCH & TREATMENT, 202301
1
전기 천공법(electroporation)을 이용한 유전자 증폭기의 개발
2
전립선암 동물모델에서 분자영상을 이용한 제대혈유래 중간엽줄기세포의 이동 경향 추적 및 신생혈관생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3
산화철 나노 조영제를 이용한 생체내 암표적 영상 진단 기법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