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에서 최근에 진행되고 있는 관심 연구 분야
1
분자생물학을 통한 식물 기능성 물질 연구
본 연구실은 분자생물학적 접근을 통해 식물에서 유래한 다양한 기능성 물질의 생합성 경로와 조절 메커니즘을 심층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특히 포도, 딸기, 블루베리 등 주요 작물에서 레스베라트롤, 피노실빈, 안토시아닌 등 건강기능성 성분의 함량 증진과 관련된 유전자 및 효소의 발현 조절을 중점적으로 분석합니다. 이를 위해 유전자 클로닝, 발현 분석, 프로모터 기능 연구 등 첨단 분자생물학 기법을 활용하여 식물 내 대사경로의 조절 원리를 규명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물의 생리적 특성과 환경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을 분자 수준에서 이해하는 데 기여하며, 기능성 물질의 대량생산 및 품질 향상을 위한 기반 기술을 제공합니다. 실제로 자외선 처리, 조직배양, 환경 제어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을 활용하여 식물 내 유용 성분의 생합성을 유도하고, 그 결과를 유전체 및 전사체 분석을 통해 정량적으로 평가합니다. 또한, 식물의 특정 조직이나 발달 단계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발현 패턴을 분석하여 기능성 물질 축적의 분자적 메커니즘을 밝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는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바이오소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응용될 수 있으며, 식물 자원의 고부가가치화와 지속가능한 농업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분자생물학적 연구를 기반으로 식물 기능성 물질의 신기능 발굴과 산업적 활용을 위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2
기능성 식물자원의 개발 및 환경응답 연구
본 연구실은 기능성 식물자원의 개발과 이들의 환경응답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식물 종을 대상으로 조직배양, 유전자 변형, 환경 스트레스(자외선, 온도, 병해 등) 처리 등을 통해 기능성 물질의 생산성을 극대화하는 방법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식물의 생장과 발달, 병해 저항성, 환경 적응성 등과 관련된 유전자 및 대사경로를 분석하여, 우수한 기능성 식물자원의 선발과 육종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연구실에서는 RAPD 마커, 형태 및 이화학적 형질 분석, 유전자 발현 프로파일링 등 다양한 분자생물학 및 생명공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식물의 유전적 다양성과 환경응답 특성을 평가합니다. 또한, 식물 내 미생물과의 상호작용, 병원균 저항성, 생장촉진 미생물 활용 등 식물-미생물 상호작용 연구도 병행하여, 식물의 건강과 생산성 향상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는 식물자원의 안정적 생산과 품질 향상, 그리고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 증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농업, 식품, 바이오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인 활용이 가능하며, 특히 기능성 식물자원의 신품종 개발, 건강기능식품 원료 생산, 친환경 농업기술 개발 등에서 큰 파급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본 연구실은 환경 변화에 강하고 기능성이 우수한 식물자원의 개발과 그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